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 1위 예술학교, 석·박사 못 준다니"… 김예지 의원, ‘한예종법’ 발의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6.13 00:20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세계가 인정한 한국예술종합학교, 법적 지위 탓에 고급 인재 해외로 유출
  • “이대로는 K-예술 허리 무너져”… 김예지 의원, 석박사 과정 가능해야

‘QS 세계대학평가 공연예술부문 아시아 1위, 세계 19위’. 한국예술종합학교(이하 한예종)가 쌓아올린 성과다. 그러나 이토록 세계가 인정한 예술학교가 정작 국내에서는 석사‧박사 학위를 줄 수 없는 ‘각종학교’라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김예지_국회의원님_보도자료용_사진.jpg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비례대표) 사진=김예지 의원실 제공

 

이 같은 제도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비례대표)이 ‘한국예술종합학교 설치법안’을 대표발의했다. 이번 제정안은 한예종을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고등교육기관으로 명확히 법제화하고, 석‧박사 과정을 정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세계 예술 무대서 인정받는 학교… 국내선 ‘법적 사각지대’


한예종은 1992년 예술 실기 중심의 전문 교육을 위해 설립됐으며, 세계적인 수준의 예술인재를 다수 배출해 왔다. 최근에는 세계대학평가 기관인 QS가 발표한 공연예술 분야 평가에서 국내 최초로 세계 20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아시아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한예종은 여전히 「고등교육법」이 아닌, 「각종학교 규정」에 따라 설립된 기관으로 분류돼 있다. 이 때문에 학위 수여에 제약이 있으며, 현재 운영 중인 ‘예술전문사’ 과정은 국내외에서 정식 석사 학위로 인정되지 않는다.


그 결과 국내 최고의 예술교육기관을 졸업한 인재들이 다시 해외 석사·박사과정으로 떠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일부는 진로를 포기하거나 비효율적인 경로를 거쳐야 하는 상황이다. 그 사이 K-예술의 허리를 이룰 중간층 인재는 국내에서 점점 줄어들고 있다.


"법은 과거에 머물러 있고, 학생은 국외로 떠난다"


김예지 의원은 “지금의 한예종은 세계가 주목하는 학교지만, 제도는 여전히 30년 전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예술 실기와 이론을 통합적으로 배우고도 국내에서는 석사·박사로 인정받지 못하는 현실은 반드시 고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이 발의한 설치법안은 한예종을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의 고등교육기관으로 정식 규정하고, 대학원 설치를 가능케 해 타 예술대학 및 학문 간 교육 연구 교류의 기반을 마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예술영재의 조기 발굴과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한예종이 명실상부한 ‘K-아츠 허브’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토대를 제시한다.


김 의원은 “국내 예술영재들이 더 이상 해외 유학으로 진로를 이어가지 않도록, 교육 제도 안에서 자라나고 성장할 수 있는 길을 열어야 한다”며 “이번 법안 통과를 통해 K-예술의 경쟁력을 미래까지 이어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불공정 거래·경영승계 의혹 조사하라”… KG그룹 소액주주들, 대통령실에 탄원
  • 구내식당에 뜬 윤남노 셰프… CJ프레시웨이, ‘우마카세 된장갈비’ 선봬
  • SNS 오픈채팅방 통해 스테로이드 불법 판매… 1.4억원 상당 밀거래 적발
  • 이재명 대통령, 첫 EU 특사로 전현희 최고위원 임명… 오늘 벨기에로 출국
  • “특강 3번에 6,600만 원”…구윤철, 방통대 석좌교수 ‘무임승차’ 논란
  • “임대주택인 줄 알았는데 조합 투자금?”… 허위광고 피해 주의보
  • 결국 좋은 콘텐츠가 e스포츠 생태계 살린다
  • 최수진 의원 “배경훈 과기부 장관 후보자, 박사과정 중 4천만원대 소득 수령”
  • '스드메' 결혼비용 폭등… 5년새 수입 2.6배↑
  • 수면의 품격을 높이다! 가누다X위닛, 압구정 프리미엄 체험존 오픈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아시아 1위 예술학교, 석·박사 못 준다니"… 김예지 의원, ‘한예종법’ 발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