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매출 1조 에르메스코리아, 3년간 장애인 고용 ‘0명’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9.10 09:1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매년 매출 1조 원에 육박하는 에르메스코리아가 최근 3년간 단 한 명의 장애인도 고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노랑풍선, LG경영개발원 등 상시근로자 300명 이상 대기업 가운데서도 장애인을 전혀 채용하지 않은 곳은 23곳에 달한다.


김예지_의원_보도용_사진 (1).jpg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사진=김예지 의원실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이 10일 한국장애인고용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장애인 의무고용 대상 기업 3만1286곳 가운데 1만8335곳(58.6%)이 이를 지키지 않았다. 대신 고용부담금만 7165억 원을 납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은 상시근로자 50명 이상인 사업체에 대해 3.1% 이상 장애인 고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률은 2022년 2.91%, 2023년 2.99%, 2024년 3.03%로 기준치에 못 미쳤다.


특히 상시근로자 300명 이상 사업체 가운데 장애인 고용률이 극히 저조한 298곳의 평균 고용률은 0.72%였다. 이 가운데 에르메스코리아, 노랑풍선, 금성출판사, JW생명과학, LG경영개발원, 한국경제신문, 더블유씨피(WCP), 한국로슈진단, 히타치하이테크코리아, 재능교육, 이솝코리아, 메드트로닉코리아 등 23곳은 2024년에 단 한 명의 장애인도 고용하지 않았다.


이 중 에르메스코리아는 2022년 6501억 원, 2023년 7972억 원, 2024년 9642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매년 고공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3년 연속 장애인 고용 의무를 단 한 번도 이행하지 않았다.


김예지 의원은 “상당수 기업이 장애인 의무고용을 단순히 부담금 납부로 대체하고 있는 현실은 매우 심각하다”며 “이는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자립을 지원하려는 법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국회 보건복지위원으로서 장애인 의무고용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고, 기업들이 실제로 장애인 채용에 나설 수 있도록 제도 개선과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 국민연금 책임투자 자산 중 97% ‘ESG 워싱’ 논란
  • 웅진식품, ‘2025 JTBC 서울마라톤’ 공식 음료로 참여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매출 1조 에르메스코리아, 3년간 장애인 고용 ‘0명’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