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우세종되면, 방역체계 전면 개편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2.01.15 10:4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오는 21일쯤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감염율이 50%를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으로 자리잡으면서 신규 확진자가 7000명을 넘어설 경우 방역당국은 방역체계를 전면 개편할 예정이다. 


Screenshot 2022-01-15 at 10.31.24.jpg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이미지출처=픽사베이)

방역체계 개편안에는 확진자의 자가격리 기간을 현행 10일에서 7일로 단축하고, PCR(유전자증폭) 검사에 비해 결과가 빨리 나오는 신속항원검사(검사키트)를 적극 활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정부는 지난 14일 오미크론 대비 ‘지속가능한 일상회복을 위한 오미크론 확산 대응전략’을 발표했다. 확진자 증가세가 불가피한만큼 방역체계를 손보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 감염이 폭증할 경우 격리시설 운영과 PCR검사 중심의 기존 정책으로는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확진자 5000명을 위기 판단의 기준점으로 보고, 상황을 주시하며 대응단계에 들어서면 기존의 검사·추적·치료(3T : Test·Trace·Treat)’ 전략에서 고위험군 관리와 위중증 환자 발생 억제에 집중하는 ‘선택과 집중’ 단계로 전환한다.


방역당국은 하루 신규확진자 7천명이 넘으면 오미크론 점유율과 상관없이 바로 대응단계를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미크론은 전파력이 매우 높아서 8천명에서 9천명으로 금새 증가할 수 있다.


대응단계에 들어서면 ‘일상의 유지’와 ‘의료체계의 안정적 유지’가 목표가 된다. 재택치료·자가격리 기간을 10일에서 7일로 단축하고 확진 후 7일 차에 격리 해제시킨다. 밀접접촉자도 검사 후 6일 후 PCR 검사 음성이 나오면 7일차부터 격리 해제된다. 


PCR 검사는 현재 75만건에서 85만건으로 늘린다. 다만 검사 수요가 폭증하면 우선순위를 설정하기로 했다. 유증상자와 고위험군, 65세 이상 고령층, 밀접접촉 등 역학적 관련자, 신속항원검사 양성인 사람을 중심으로 PCR 검사를 실시한다. 65세 이하 무증상자는 의료기관에서 먼저 신속항원검사를 받아야 한다.


동네 1차 병·의원에서도 코로나19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병의원에 채취 장소와 방침 등을 미리 준비하고 신속항원검사에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신속항원검사 결과도 음성확인제로 활용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다만, 24시간 내 검사만 유효하고 의료기관이 아닌 자가검사 결과는 인정하지 않는다고 계획이다. 


12∼17세 청소년 백신접종을 지속적으로 독려한다.  또한 아직까지는 접종대상이 아닌 5∼11세를 대상으로 접종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내 5∼11세는 약 300만명으로 미국과 스위스, 브라질, 아일랜드, 말레이시아 등 일부 국가는 이미 사용 승인했다. n차 접종도 검토 중이다. 백신 효과 저하를 우려해 면역저하자와 고위험군에게는 4차 접종도 준비 중이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유아식기 브랜드 ‘네스틱’, 환경표지 인증 획득… 친환경 유아용품 새 기준 제시
  • 매드포갈릭, 창립기념 ‘9월 감사 혜택’ 프로모션
  • 쿠팡풀필먼트, 현장관리자 600명 공채
  • 아웃백, ‘프리퀀시 E-스탬프 시즌 3’ 이벤트 진행
  • 볼보, 순수 전기 SUV EX30CC 국내 출시
  • 극장판 ‘귀멸의 칼날’ 흥행에 원작 만화 판매 6배 급증
  • ‘1위 박보검 vs 2위 조정석’...‘K-브랜드지수’ 배우 부문 TOP10 발표
  • 빙그레, 과채주스 ‘캐옴’ 신제품 2종 출시
  • 스텔라 아르투아, 권성준 셰프 한국 공식 앰버서더 발탁
  • ‘Better Beef Market’… 육우 즐기는 주말 축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오미크론 변이 우세종되면, 방역체계 전면 개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