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택대출 11개월만에 최대폭 증가

  • 류근석 기자
  • 입력 2019.12.11 18:32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11개월만에 최대 증가세를 보였다. 최근 부동산 경기 호조와 함께 지난 9월 정부에서 내놓은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수요가 겹친 탓이다. 전세자금대출 수요도 꾸준히 늘어났다.  
 
11일 금융위원회·한국은행·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달 8조 3000억 증가에 이어 이달에도 6조 5000억원 늘었다. 11월까지 올해 전체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48조 3000억원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순증의 원인이 됐다. 

 주택담보대출은 4조 9000억원이 늘어났다. 이는 작년 12월(4조 9000억원) 이후 11개월 만에 최대 증가치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속 주택 매매와 전세거래에 따른 자금수요가 몰렸기 때문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50% 올라 작년 10월(0.51%) 이후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올해 1∼11월 누적 기준으로 보면 은행 주택대출은 40조 1000억원 늘어났다. 증가규모는 2017년(37조 2000억원)과 2018년(37조 8000억원)의 연중 증가 규모를 웃돌았다.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은 기존 변동금리 대출을 최저 연 1%대 고정금리로 갈아탈 수 있는 정책금융 상품으로 시중은행에서 빌린 대출뿐 아니라 상호금융이나 저축은행에서 빌린 대출도 대환이 가능하다. 이 상품을 신청했다 
 
탈락한 수요는 보금자리론으로 그대로 이동했다. 보금자리론은 공급 규모가 조원대를 넘지 않다가 10월 2조 2000억원으로 급증하더니 11월에도 1조 7000억원 늘었다. 전세자금대출도 10월(2조 6000억원)에 이어 11월(2조 7000억원)에도 증가 규모가 확대됐다. 

 한은 관계자는 "2017∼2018년에는 대출 규제가 단계적으로 시행되며 주택대출 대신 마이너스대출, 신용대출로 관련 자금 수요가 옮겨갔었다"며 "올해는 주택대출이 작년보다 많이 늘어났지만 기타대출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위조 서류로 장관상 받았는데… 문체부, 3년 지나서야 수상 취소
  • 무대 추락·장비 사고 반복되는데… 예술인 보호장치는 ‘0’ 수준
  • 의료관광은 늘었는데… 법은 15년 전 그대로
  • 교사 579명 음주운전… 만취 상태여도 대부분 교단 복귀
  • 동서식품, ‘컬러 오브 맥심’ 한정판 패키지 출시
  • KBS, 실제 적자 1,850억 원... 제작비 깎아 ‘적자 축소’ 논란
  • 기아, 라파엘 나달과 21년 동행… 글로벌 파트너십 연장
  • 감성과 기술의 융합, 감정의 파동을 깨우는 앱 ‘컬러힐링알람’ 출시
  • 김병곤 박사 “저속노화, 결국 운동이 전부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주택대출 11개월만에 최대폭 증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