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기에 여성들이 쓰는 쓰촨 말의 나긋나긋한 흐름이나 다소곳한 자세는 남성들을 매료시키기에 충분하다. 바람이 날 것이 뻔하니 쓰촨으로 출장 가지 말라는 것이다.
쓰촨에 미녀가 많은 것은 당연히 이유가 있다. 해를 보면 개가 짖을 만큼 태양을 볼 수 없는 날이 많으니 쓰촨 여성들의 피부는 우윳빛처럼 깨끗하다.
거기에 청두 평원은 중국 최고의 곡창으로 항상 풍작을 이루는 땅이다. 당연히 여성들의 영양 상태가 좋으니 아름다울 수밖에 없다. 여성들에게 좋은데 남성들에게 나쁠 리 없다.
때문에 청두는 예로부터 하늘의 마을(天府)로 불렸다. 청두는 관문부터 강의 냄새가 나는 쌍류(雙流)국제공항이 있다. 공항에서 시내까지 가다 보면 내륙에 이 정도의 도시가 있다는 것에 놀라게 된다.
인구 8500만 명을 가진 쓰촨의 중심도시 청두의 인구는 1060만 명이다. 시선 이백은 청두의 외곽도시인 지앙요(江油)가 고향으로 청두에서 많이 거주했다.

시성 두보는 피난길에 청두에서 살았는데, 이곳에서 결혼해 인생의 재미를 맛보았다. 두보의 시 가운데 가장 편안한 느낌의 시들은 이곳에서 지은 것들이다. 시내에 베이징에 못지않은 여행지들이 산재한 곳도 청두밖에 없을 것이다.
이곳에서 가장 먼저 들리는 곳이 우허우츠(武侯祠 무후사)다. <삼국지연의> 인물 유비의 묘와 제갈공명의 사당이 있는 곳이다. 원래 명칭은 유비가 주군이어서 유비의 시호 소열제를 따서 한소열묘(漢昭烈廟)였지만, 후에 제갈공명의 시호인 충무후(忠武候)를 따서 ‘우허우츠’(武候祠)로 부르게 되었다.
우허우츠는 들어가면서 정문 방향으로 대문과 2문, 유비전, 제갈공명전, 삼의묘(三義廟) 등이 차례로 펼쳐진다. 왼편으로는 삼국문화 전시관이나 유비의 묘 등이 펼쳐진다.

마지막에 있는 결의루(結義樓)에서는 화요일과 일요일 오후 2시 30분부터 3시 30분까지, 매일 저녁 8시에는 희극이나 춤, 그림자 놀이 등 각종 공연이 펼쳐진다. 입구로 들어가다 비각에서 만나는 ‘출사표’에서 읽는 제갈량의 의지와 붉은 벽 사이 너머로 펼쳐진 대나무의 기상이 일품이다.
두푸차오탕(杜甫草堂 두보초당)은 시성(詩聖) 두보가 759년부터 4년 동안 머물렀던 곳이다. 그는 이곳에서 두보는 일생 중 가장 평안한 삶을 보내며 240여 편의 시를 지었다.
당나라의 낮은 관리로 지나다가 전쟁을 맞아 뛰어난 재주를 펼칠 틈도 없이 부평초처럼 세상을 주유한 두보는 이곳에서 가장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 춘야희우(春夜喜雨), 모옥위추풍소답가(茅屋爲秋風所破歌) 등 편안한 분위기의 시는 대부분 이곳에서 지었다.
시내 칭양궁(靑羊宮 청양궁)은 노자(老子)를 기리는 도교 사당이다. 당나라 때 창건되고, 청나라 때 재건됐다. 매년 1월에 등회(燈會)가 열리고, 노자 탄생일인 음력 2월 15일에는 화회(花會)가 열린다.
청두 사람의 중요한 문화 가운데 하나인 차관(茶館)문화를 볼 수 있는 곳이다. 입구의 좌측 등나무 아래 찻집들이 늘어서 있는데 이곳에서는 2~20위안에 차를 주문해서 하루 종일 앉아 있을 수 있는데, 각종 장기자랑 등 쓰촨인의 삶을 느낄 수 있다.
역시 찻집 문화를 볼 수 있는 곳이 왕지앙러우공위안(望江樓公園 망강루공원)이다. 이곳은 당나라 때 여 시인 설도(薛濤)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곳이다. 설도가 대나무를 좋아해 공원 전체에 대나무가 많고, 입구의 대나무 터널이 유명하다. 안에는 역시 차관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기공을 하는 일반인의 삶을 볼 수 있다.
글 = 조창완 여행 작가, 중국자본시장연구회 부회장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배리어프리’는 비용이 아닌 투자다
디지털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생존 전략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시행하는 '2025년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소상공인들에게 현실적 희망을 주고 있다. 인건비 상승과 소비 패턴 변화 속에서 무인화·자동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다. 최근 경쟁력이 떨어지는 소상공인에게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 -
병원동행 서비스, 돌봄 공백 채울 실효적 대안이다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한국에서, 노인복지의 사각지대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병원 동행’ 문제는 그동안 충분히 주목받지 못했지만, 실상 고령자 개인은 물론 가족과 지역사회 전체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대표적인 돌봄 공백이다. 고령자는 만성질환을 동반한 정기적인 병원 방문이 필수적이다.&n... -
“인건비·임대료에 막힌 소상공인, 해결책 절실하다”
우리 주변에는 작은 가게들, 자영업자들, 그리고 1인 혹은 가족이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이 셀 수 없이 많다. 그러나 이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거나, 알면서도 쉽게 해결책을 마련해주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이들의 공통적인 문제는 대부분 ‘자금난’을 겪는다는 점이다. 인건비, 원자재값,... -
[신박한 컨설팅] 작은 그림자가 키우는 큰 성공…소상공인의 길
창업을 준비하는 이들이 가장 먼저 품는 바람은 단순하다. '내 가게가 성공하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수많은 소상공인들이 실패와 좌절을 겪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는 작은 출발에서 큰 성공으로 나아간다. 무엇이 차이를 만드는가. 답은 의외로 단순하다. 작은 것을 소홀히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