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네 명의 아가씨란 이름을 가진 쓰꾸냥산은 온난화로 위협받고 있지만 고고한 느낌으로 쓰촨 여성들의 표지가 되는 산이다. 두지앙위앤에서 30~50km만 들어가면 도착할 수 있기 때문에 쓰촨에 있는 공가산이나 샹그릴라의 만년설산에 비해 품을 적게 들이고 만년설산을 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우선 쓰꾸냥산(四姑娘山 사고랑산)은 쓰촨성 간즈저우(甘孜州) 샤오진현(小金縣) 르룽샹(日隆鄕)에 위치하고 있다. 청두(成都)시까지 거리는 235㎞이며 해발은 순서대로 5333m, 5454m, 5664m, 6250m이다.
쓰구냥산은 일년 내내 눈으로 덮여 있어서 풍경이 아름답고 ‘수산즈왕’(蜀山之王)이라고 부르는 궁가산(貢잭山, 해발 7556m)과 마주 보기 때문에 ‘수산즈왕(蜀山之王) 둥팡아얼비스산(東方阿爾卑斯山)’이라고도 칭한다. 중국 내에서 새롭게 개발된 여행 지역인 쓰구냥산은 총면적이 450㎢며 쓰촨 서부 여행지 중에서 각광받는 곳이다.
쓰구냥산은 설산, 시냇물, 단풍, 협곡, 화초, 민족 풍습으로 유명하다. 쓰구냥산의 주요 명소는 창핑고우(長坪溝), 해즈고우(海子溝), 쑤앙쵸고우(雙橋溝)이다.
이 계곡들은 계곡마다 특색이 있는데, 그중 창핑고우와 해즈고우는 말을 타거나 걸어서 여행해야 하므로 여행하기에 힘들다. 길에 진흙이 많기 때문에 방수화를 신으면 등산하기 편하다.
쓰구냥산에는 총길이 30㎞로 평탄하게 열린 산 사이에 맑은 샘물이 흐르고, 높은 산에는 목양과 넓은 초원이 펼쳐져 있다. 5월과 12월, 1월, 2월은 여행하기에 가장 적당한 계절이다.
1월과 2월의 평균 온도가 영하 2℃다. 7월과 8월의 평균 온도가 12℃지만 5~10월간 강우량이 비교적 많아 본격적인 여름철의 여행은 힘들다.
숙박 상황은 좋지 않다. 창핑춘(長坪村)에는 쓰구냥산(四姑娘山)호텔이 있고, 르롱진(日隆鎭)에는 쓰구냥산주디앤(四姑娘山酒店)이 있으며, 르롱진에서 7km 떨어진 곳에 쓰구냥산산장이 있다.
음력 1월 3일에는 구어주앙핑(鍋莊坪)에서 쓰구냥 제사를 지내므로 이 시간을 맞추면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음력 5월 5일 단오에는 구어주앙핑(鍋莊坪)에서는 말타기 시합을 한다.
워롱(臥龍) 자연 보호구는 쓰꾸냥산 가는 길에 있다. 입장료는 판다관(熊猫館 30위안) 잉슝고우(英雄館 25위안), 작은 판다관(小熊猫館 5위안) 순이다. 작은 판다는 우리가 생각하는 판다라기보다는 너구리처럼 보이므로 특별히 관심 있는 이가 아니라면 별로 의미가 없다.
글/사진= 조창완 여행 작가, 중국자본시장연구회 부회장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소상공인 사업장의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요즘 거리의 가게를 보면, 무인결제기와 스마트미러, 키오스크가 낯설지 않다.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초기 성과 면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가게 문을 지키는 소상공인들은 이렇게 묻는다. ‘이 기술... -
[이상헌의 성공창업백서] 부동산과 창업, ‘공간경제’의 핵심 연결고리가 정답
창업은 흔히 ‘아이템’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공간’에서 완성된다. 사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바로 부동산이다. 상권 입지, 임대료, 유동인구, 공간 활용 구조 등 부동산 요소가 창업의 생존률을 좌우한다. 그만큼 부동산은 창업의 무대이자 진입장벽이며, 더 나아가 지...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한때 활기가 넘쳤던 골목과 시장, 공장지대가 지금은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로 활력을 잃고 있다. 도심 공동화와 지방소멸의 그림자는 이미 우리 생활 곳곳으로 스며들었다. 도시재생사업은 이러한 쇠퇴한 지역을 다시 살리는 가장 현실적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건물 보수나 미관 개...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창업 생태계의 리셋이 필요하다
국내 자영업의 위기가 통계로 드러났다. 최근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개인사업자 10명 중 7명이 월 100만원조차 벌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소득 0원’으로 신고한 사업장만 100만 곳을 넘어섰다. 자영업이 한국 경제의 절반을 지탱해 온 기반 산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단순한 경기 침체가 아니라 경제 생태계 ... -
[이상헌의 성공창업 경제학] 민생회복지원금 후광효과 지속하려면…
정부가 경기 침체와 서민 경제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추진한 ‘민생회복지원금’ 정책은 당초 국민들의 큰 기대를 모았다.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위축된 소비심리를 회복하고 내수를 진작시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숨통을 틔워주겠다는 목적이었다. 그러나 지원금 소비가 마무리되는 지금, 그 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