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여느 여행이나 밤시간을 즐겁게 보냈느냐에 따라 그 여행의 성패가 나누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베이징은 어떨까.
동즈먼(東直門) 구이지에(い街)도 명불허전의 명소다. 우선 이곳은 새벽 2~3시까지 있어도 전혀 부담이 되지 않은 골목은 이곳뿐이다.

또 홍등도 잘 만들어져 있어서 여행의 흥취를 더한다. 구이지에는 지하철과 연결되어 교통도 편리하다. 우선 동즈먼 지하철역 A출구로 나와서 뒤로 돌면 3다리의 제기(祭器)가 보인다.
이 방향으로 30m쯤 걸으면 오른쪽으로 동즈먼네이따지에(東直門內大街)가 시작된다. 여기서부터 구이지에지만 중심가로 가려면 600m쯤 가야 한다.
여기서부터는 홍등으로 장식된 길이 펼쳐지는데 주변으로 다양한 맛집이 펼쳐져 있다. 올해부터는 지하철 5호선 베이신치아오(北新橋)에서 내려서 지하철 출구를 나오면 구이지에의 메인 거리에 바로 닿는다.
화지아이위앤이 가장 대표할 만한 곳인데 우선 이 집은 베이징의 전통 가옥인 쓰허위앤(四合院) 구조로 되어 있다.

대문의 옆으로 난 입구로 들어가면 수족관이 있고 내부가 펼쳐지는데 지붕이 있는 야외와 내부 식탁들로 나뉜다. 입구에는 저우룬파(주윤발), 거요우(갈우) 등 이곳을 다녀간 연예인 사진도 있다.
동즈먼 구이지에가 밤 늦게까지 미식을 즐기면서 술을 할 수 있는 곳이라면 호우하이(后海)는 바에서 중국 당대 술집 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이곳은 치엔하이(前海)와 호우하이(后海)의 주변으로 수많은 바들이 몰려있다.
밤이 되면 공연도 하고, 술도 판다. 또 치엔하이 쪽에서는 유람선을 빌려 호수 위에서 즐길 수 있는데 큰 배에서는 양로우추알(羊肉串)을 즐길 수도 있다. 배에 따라서는 얼후(二胡)를 타는 연주자가 있기도 하다.
또 호수의 주변으로는 수많은 바들이 있다. 그 중에는 베이징의 재즈 바 가운데 가장 유명한 동안東岸도 이곳에 있다.
르탄공위안(日檀公園)도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밤시간을 보내기 좋은 곳이다. 공원 서문으로 들어가 바로 우회전해 조금 걸으면 스팡바가 있다.

호수를 배경으로 이허위안의 대리석 배를 본따 만든 곳인데, 스톤보드바로 유명하다. 북문 앞에는 샤오왕푸(小王府)라는 전통 중식당이 있다.
공원의 오랜 수목과 그 안에 있는 식당이 잘 조화되고, 2층은 야외 라운지도 있어서 식사를 즐기기 좋은 곳이다.
이밖에도 싼리툰 지우빠지에는 오래된 바거리다. 다만 이곳은 최근에 호객행위와 바가지로 얼룩져서 그다지 권하지 않는다. 베이징의 코리아타운 왕징과 대학가인 우다코우도 밤 문화가 있는 지역 가운데 하나다.
글/사진= 조창완 여행 작가,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중국여행지 50 저자
BEST 뉴스
-
[이상헌의 성공창업] 민생지원금, '단비인가 ·독배인가'
최근 정부가 추진 중인 ‘민생회복지원금’이 다시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섰다. 경기 침체 속에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되살리기 위한 정책이라는 점에서 명분은 분명하다. 그러나 단기적 경기 부양과 함께 재정 건전성, 물가 안정, 정책 효율성 등 여러 구조적 과제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 -
검찰청 폐지' 공소청·중수청 신설…경실련 “권한 쪼개기 우려”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에서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수정안이 통과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회가 26일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켜 검찰청을 폐지하고, 기소 전담 공소청과 수사 전담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하는 이른바 ‘수사·기소 분리’ 제도를 법제화했다. ... -
[이호준의 문화zip]- 프랑스 신용강등이 던지는 경고
최근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가 프랑스의 국가 신용등급을 'AA-'에서 'A+'로 한 단계 강등했습니다. 국제 신용평가사들의 잇따른 신용등급 강등은 단순히 프랑스 재정의 ‘지표’가 악화됐음을 보여주는 것을 넘어, 그 근본 원인인 ‘정치적 실패’를 적나라하게 드러냈습니다. 이는 바로 ‘증세 없는 복지’라는 달콤한 정치... -
[신박한 컨설팅] 실패도 성장의 발판, 함께 만들어가는 ‘포용적 문화’
우리나라 소상공인들은 수많은 도전과 위기를 겪으며 살아간다. 하지만 상당수의 소상공인들은 ‘실패’를 두려워하고, ‘실패 경험’을 공개하는 것을 꺼린다. 이는 ‘실패를 용납하지 않는 문화’와 ‘실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았기 때문인데, 이에 따라 도전 정신이 위축되고, 재도전의 기회 또한... -
[신박사의 신박한 칼럼] 소상공인 재기의 불씨, ‘희망리턴재기지원사업’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 경제는 여러 위기와 변화 속에서 많은 소상공인들이 어려움을 겪어 왔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영업 제한과 소비심리 위축은 모든 소상공인들을 힘들게 만들었고, 경기하락에 따라 지역경제에도 큰 충격을 안겨줬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반지하 없애겠다던 오세훈 공약은 어디로… 2년간 이주율 2.3% 그쳐
2022년 신림동 반지하 침수 참사 이후 오세훈 서울시장이 “반지하 주택을 없애겠다”고 공언했지만, 지난 2년간 실제 이주 실적은 2.3%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매입임대 공급률은 0.3%에 그치며 정책 효과가 사실상 전무하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지난 2022년 8월 8일 오후 9시 7분께 서울 관악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