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마이리얼트립, 민다 소송서 패소”… 급성장 스타트업의 윤리 리스크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5.10.30 22:1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한인민박 전문 여행 플랫폼 민다(Minda)가 여행 앱 마이리얼트립(MyRealTrip)의 전직 직원 A씨를 상대로 낸 형사소송 2심에서 승소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8-2부는 지난 17일 업무방해 혐의로 기소된 A씨에게 벌금 500만원을 선고하며 1심 판결을 유지했다. 

피고인은 2022년 경쟁사 민다의 숙박 플랫폼에 허위 예약을 102회 시도하고 취소하는 방식으로 업무를 방해한 혐의를 받았다.


2022120713214262291_00_494.jpg
이동건 마이리얼트립 대표 / 사진 출처=마이리얼트립

 

판결문에는 “피해자 회사(민다)는 직원이 5명에 불과한 소규모 스타트업으로, 피고인의 잦은 예약과 취소로 인해 카드취소 수수료와 예약 처리 업무가 불필요하게 반복되었고, 다른 고객들이 예약하지 못하게 되는 등 업무가 명백히 방해되었다”고 명시됐다. 법원은 “경쟁사 플랫폼에 접속해 반복적으로 범행을 저지른 점에서 죄책이 가볍지 않다”고 판시했다.


민다는 현재 마이리얼트립 본사를 상대로 한 민사소송도 진행 중이다. 앞서 지난 7월 25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부는 민다가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1억5000만원 배상 판결(일부승소)을 내렸다.


이번 사건을 두고 이건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급성장하는 회사가 ‘문화 관리’에 실패했을 때 벌어지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B2C 이커머스나 HR 플랫폼 중 일부는 재벌기업보다 심한 갑질을 한다”며 “10명짜리 회사를 운영하던 창업자가 1000명 규모의 시스템을 관리하지 못하는 건 당연하다. 완전히 다른 게임”이라고 꼬집었다.


마이리얼트립은 2024년 기준 매출 892억 원, 월간 이용자 400만 명을 기록하며 창립 이래 첫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그러나 외형 성장의 그늘 아래 내부 윤리와 조직문화에 대한 관리 소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빠른 성장 과정에서 문화적 기반이 흔들리면 결국 고객 신뢰와 브랜드 가치에 치명적인 손실이 발생한다”며 “WeWork나 Uber가 겪은 몰락도 같은 맥락”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단순한 개인의 일탈로 보기 어렵다고 말한다. 스타트업의 급성장은 리더의 비전과 속도뿐 아니라 그 속도를 견딜 수 있는 문화적 내구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은 성장률만큼 윤리 교육에 투자하고, 직원들이 비윤리적 행동을 안전하게 제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복지 사각지대’ 가족돌봄아동에 손 건넨다
  • 이들이 별을 너무 따서 이제 없다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마이리얼트립, 민다 소송서 패소”… 급성장 스타트업의 윤리 리스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