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여성기업가의 경제활동이 갈수록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스터카드가 발표한 여성기업가지수(Mastercard Index of Women Entrepreneurs 2020)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100점 만점에 60.04점을 얻어 조사 대상 58개 시장 중 38위로 2019년 조사(58.3점, 39위)보다 한 단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2017년에는 57.6점으로 42위, 2018년에는 57.2점으로 44위를 각각 기록한 바 있다.
마스터카드는 특히 2013년 4% 수준이었던 한국 여성 노동 인구의 기업가 비율이 현재 11%까지 뛰어오르는 등 매우 적극적으로 변화했다고 평가했다.
이는 아태지역의 다른 시장들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인데 호주는 9%, 싱가포르 6%, 중국 8%, 일본 3% 정도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 비즈니스 편의성과 중소기업 지원책 등 여성의 기업활동에 필요한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여느 지역과 마찬가지로 비즈니스 리더십에서의 성평등성 관련 인식 부족 등 장벽은 여전해 이것이 여성의 기업활동에 걸림돌이라고 분석했다.
마스터카드는 2017년부터 OECD와 세계은행, 국제노동기구(ILO) 등 주요 국제기구에서 공개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지역의 여성 기업가 현황 및 사회 환경적 지원 정도를 분석하고 있다.
해당 자료는 세계 여성기업가들의 사회경제적 기여를 강조하고 이들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해당 자료는 우선 각 지역별 여성 오너의 비율을 조사한 뒤 이를 토대로 크게 세 부문에 걸쳐 평가를 진행한다.
한국은 여성의 전문지식과 포용적인 금융 활용도 등을 평가하는 ‘지식 자산&금융 접근’ 부문에서는 88.1점으로 전체 3위에 오르기도 했지만, 사회문화적 환경을 측정하는 ‘여성 선진화 성과’ 부문은 40.6점에 그쳐 48위에 머물렀다. 기업가로서 활동하기 위한 ‘협조적인 기업가 조건’ 부문에선 68.8점으로 17위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높은 여성기업가지수를 받은 지역은 이스라엘이었다. 이스라엘은 2020년 74.7점을 받아 2019년 4위에서 1위로 올라섰다.
이스라엘은 2년 안에 여성 사업가 수를 두 배로 늘리겠다는 정부 정책과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제도가 뒷받침되며 2020년 1위에 선정됐다.
그 뒤는 미국(74.0점, 2위), 스위스(71.5점, 3위), 뉴질랜드(70.1점, 4위), 폴란드(68.9, 5위), 영국(68.7점, 6위), 캐나다(68.6점, 7위), 스웨덴(68.3점, 8위), 호주(67.5점, 9위), 스페인(67.3점, 10위) 순이었다. 아태지역에선 뉴질랜드와 호주가 각각 1, 2위를 차지한 가운데 태국(66.9점)이 3위, 타이완(66.6)이 4위, 홍콩(65.8)이 5위를 차지했다. 아태지역 15개 비교 시장 중 한국은 12위였다.
마스터카드는 코로나19의 세계적인 대유행이 여성기업가들의 비즈니스에 진전을 이룰 수 있는 촉매제가 돼 성별에 따른 편견을 바로잡을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줄리엔 로(Julienne Loh) 마스터카드 아태지역 기업 파트너십 담당 선임부사장은 “이번 연구 결과 성 불평등은 경제적 부(富), 발전 수준, 규모, 지리적 위지 등과 관계없이 코로나19 이전부터 지속돼 왔음을 확인했다”며 “팬데믹이 이러한 상황을 더욱 악화시켰다는 점을 확인한 만큼 여성들이 리더로서 살아남고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프로그램과 디지털 기술, 금융 서비스 등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스터카드는 코로나19의 특수한 상황에서도 저신다 아전 뉴질랜드 총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차이잉원 타이완 총통 등 여성 세계 지도자들이 질서와 확신, 신뢰와 침착함을 보여주면서 성공적으로 팬데믹 상황을 통제하는 리더십을 발휘했다고 평가했다.
BEST 뉴스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