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비 폭탄'에 이어 식품류 가격 인상도 예고됐다.

재료비 인상에다 인건비, 물류비, 전기·가스 요금 인상 등 제반 경비가 전반적으로 상승하면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게 업계의 입장이다.
30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LG생활건강은 이미 이달 1일부터 코카콜라 350mL 캔 제품의 편의점 가격을 1900원에서 2천원으로 5.3% 올렸고 몬스터 에너지(355mL 캔) 가격도 2200원에서 2300원으로 4.5% 인상했고 롯데칠성음료는 펩시콜라 355mL 캔 제품 가격을 1700원에서 1900원으로 11.8% 올렸다.
설 연휴 이후 업체들은 가격 인상 계획을 앞다퉈 발표했다. 지난 25일 제주도개발공사는 제주삼다수 출고가를 2월부터 평균 9.8% 올리고 웅진식품도 음료 20여 종의 가격을 내달부터 평균 7% 인상한다고 밝혔다.
음료에 이어 빙과류 가격도 인상된다. 빙그레는 아이스크림 가격을 20%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빙그레 대표 아이스크림인 메로나 가격은 일반 소매점 기준으로 1천원에서 1200원으로 20% 오른다. 메로나 가격은 지난해 2월까지는 800원이었는데 내달 2월에는 1200원으로 1년새 1.5배 가까이 오른 셈이다.
롯데제과는 빙과류와 제과류 등 일부 제품의 가격을 2월 1일부터 순차적으로 인상하겠다고 지난 27일 밝혔다. 빙과류 중에서는 소매점 가격 기준으로 스크류바, 죠스바가 500원에서 600원으로 인상되고 월드콘, 찰떡아이스, 설레임은 1천원에서 1200원으로 오른다. 마가렛트는 3천원에서 3300원으로 오르고 초코빼빼로와 꼬깔콘은 각각 1500원에서 1700원으로 각각 인상된다. 가나초콜릿과 목캔디는 1천원에서 1200원으로 20% 오른다.
해태제과 역시 합작사에서 생산하는 포키, 구운양파, 자가비 등 3개 제품의 가격을 평균 14.8% 인상해, 내달 16일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한다고 밝혔다.
파리바게뜨는 내달 2일부터 95개 품목 가격을 평균 6.6% 올린다. 이에 따라 후레쉬식빵(대)은 3200원에서 3300원으로 인상되고 치즈소시지페스츄리는 2800원에서 2900원, 고구마반생크림반케이크는 3만1천원에서 3만2천원으로 인상된다.
농심켈로그는 콘푸로스트, 첵스초코 등 시리얼 제품 가격을 10% 안팎으로 올린다.

프랜차이즈 중에서는 롯데리아가 내달 2일부터 제품 판매 가격을 평균 5.1% 인상해 대표 메뉴인 불고기버거와 새우버거의 단품 가격은 4500원에서 4700원으로 오른다.
주류 가격도 상반기 중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기획재정부는 오는 4월부터 내년 3월까지 반출·수입 신고하는 맥주와 막걸리에 대한 세금을 각각 L당 30.5원(885.7원), 1.5원(44.4원) 인상한다고 발표했는데, 주류업체들은 보통 정부의 주세 인상 직후 가격을 올린다.
하이네켄코리아의 경우 유럽에서 생산하는 업장용 일부 제품의 가격을 내달 10일 출고분부터 평균 9.5% 올린다.
한파로 인해 작업에 차질이 생긴 채소류 가격도 비싼 편이다.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 27일 기준 대파(상품) 도매가는 ㎏에 2364원으로 1년 전 1800원과 비교해 31.3% 크게 올랐다.
파프리카(상품) 도매가는 27일 5㎏에 4만7100원으로 1년 전 3만9964원에 비해 17.9% 비싸고 상추는 4㎏에 2만6520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8.1% 올랐다.
BEST 뉴스
-
[단독] 급성장한 미소 서비스, ‘좋은 플랫폼’ 평가 속 반복되는 불만 목소리
국내 대표 홈서비스 플랫폼 미소(Miso)가 생활편의를 크게 높인 혁신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15년 설립 이후 누적 고객 500만 명, 거래 파트너 8만 명을 확보하며 누적 거래액 1조 원을 돌파했고, 최근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빠른 성장 뒤에는 끊이지 않는 고객 불만과 서비스 품질 문제가 드러나고... -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소득·자산 기준 따른 선별 지급 가닥
정부가 다음 달 22일부터 전 국민의 90%를 대상으로 1인당 10만 원을 지급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의 구체적 지급 기준을 마련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는 소득·자산 조건을 따져 선별 지급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안내문 붙은 전통시장 [연합... -
한전기술–남동발전, ESG 감사 역량 강화 손잡았다
한국전력기술과 한국남동발전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를 위해 감사 업무 분야에서 손을 맞잡았다. 3일, 한국전력기술과 한국남동발전 감사업무 협약체결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 오른쪽에서 다섯번째 한전기술 윤상일 상임감사, 왼쪽에서 네번째 남동발전 ... -
까르마, KLPGA 메이저 KB금융 스타챔피언십 후원 우승·홀인원 선수에 모션베드 증정
메모리폼 매트리스 침대 전문 브랜드 까르마(CALMA)가 25년 9월 4일부터 7일까지 블랙스톤CC에서 펼쳐지는 국내 여자 프로골프 메이저 대회인 ‘KB금융 스타챔피언십’의 공식 스폰서로 참여한다. 사진=까르마 KB금융 스타챔피언십은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에서... -
서울시 공공배달앱 ‘땡겨요’, 소상공인 지원 취지 무색…불만과 논란 지속
땡겨요 로고 서울시와 신한은행이 함께 만든 공공배달앱 ‘땡겨요’가 도입 2년 차에 접어들었지만, 소비자와 자영업자들의 불만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출범 당시에는 민간 배달앱의 과도한 수수료(최대 7~8%)를 줄이고 소상공인을 지원한다는 취지였으나, 실제 현장에... -
농심 1위·대상 TOP10 신규 진입…식음료 상장사 브랜드 순위 재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12일 발표한 ‘K-브랜드지수’ 조사에서 식음료 상장사 부문 1위에 농심이 올랐다고 밝혔다. ‘K-브랜드지수’ 이미지=아시아브랜드연구소 제공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기반 브랜드 평가 시스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