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청년 41.7% 수도권 떠나 지역으로 이주 생각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4.07.30 19:2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청년정책 정보 플랫폼 ‘열고닫기’와 지역 로컬 여행사 ‘청개골 마을호텔’은 청년 455명을 대상으로 이번 달 12일부터 23일간 공동 실시한 ‘월간 열고닫기’ 설문조사 결과, 청년들의 41.7%가 수도권 이외 지역으로 이주를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3666932835_20240730113458_4142677862.jpg
서베이 결과 인포그래픽(제공=열고닫기)

 

이주를 고려하는 청년 중 70.4%는 연고가 없는 비연고지로 이주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응답자 유형별로는 출신지역 내에서 계속 거주하는 경우(수도권 계속거주형 36.4%, 비수도권 계속거주형 42.0%)보다 출신지역을 떠나 수도권 또는 비수도권 지역에서의 이주 경험이 있는 경우(비수도권 회귀형 63.6%, 비수도권 이주형 57.9%)에서 수도권 이외 지역으로의 이주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이주를 생각하게 된 동기는 △주거 환경(40.4%) △진로 문제(이직, 창업)(19.2%) △출퇴근 시 대중교통 불편(19.2%) 순이었으며, 수도권 집중화에 따른 높은 집값, 경쟁 심화 등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주 검토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주거 환경 (56.3%) △자연 환경 (44.6%) △지역 내 교통 편의 (41.8%) △취/창업 기회(38.5%) 등이었다. 또 이주 시 기대하는 요소로는 공간적 여유(32.9%), 시간적 여유(23.0%), 새로운 커리어 경험(15.0%), 새로운 인간관계(7.5%)로 나타나 이주 동기와 기대 요소가 대체적으로 비슷하지만 새로운 커리어 경험과 인간관계에 대한 기대가 눈에 띄었다.


3666932835_20240730113502_8023876057.jpg
유형 구분(제공=청개골마을호텔)

 

지역 콘텐츠를 접하고 그 지역에 가고 싶거나 간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0.3%로 나타났다. 지역을 방문할 때는 △유튜브(30.3%) △소셜 미디어, SNS(24.8%) △블로그 후기 및 평점(19.7%) △친구/가족 추천(13.4%) △지역 내 홈페이지, 소식지(3.4%) 순으로 정보를 얻거나 활용하고 있어 유튜브나 소셜미디어의 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른 지역에서 못 느끼는 지역 고유의 문화/경험을 바란다’는 질문에 80%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자연 경관이나 문화 및 역사 유적지가 중요한 요소이긴 하지만 지역 경관 투어나 독립서점·카페 투어, 지역 마을/도시재생 탐사 등을 높은 비율로 응답했다. 이는 지역 내 유입을 위한 새로운 지역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규희 열고닫기 대표는 “이번 조사의 취지는 지역을 이동하고, 경험하고, 체류하고, 이주하는 전 과정에 대한 청년들의 관심과 이유를 보기 위함이었다”며 “이번 조사 결과는 청년들이 수도권을 떠나 다른 지역에서 경험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지역 콘텐츠 발굴 및 개발, 홍보에 대한 필요성을 통해 연계할 수 있는 기회를 지속적으로 만들어나가겠다”고 밝혔다.


경해진 청개골 마을호텔 대표는 “이번 조사를 통해 출신지를 떠나 다른 지역에서 살아보는 경험이 다양한 형태의 라이프스타일을 구상하고 자신에게 맞는 것을 고를 수 있도록 관점을 확장하는 데에 유효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청개골 마을호텔은 청년들이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경험하고 자신이 원하는 삶의 모습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지역과 관계 맺는 프로그램을 포함해 이주 시 청년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인 주거, 교통, 취창업과 관련한 정보를 충분히 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따뜻한동행, 필리핀 6·25 참전용사 주거 지원
  • 게임으로 웃는 우리들만의 시간
  • ‘우리형닷컴 Qi2.2 3in1 스탠드 무선충전기’ 출시
  • ‘논산 백성현 상승 vs 서산 이완섭 하락’… 충청권 지자체장 순위
  • [이상헌의 성공창업 경제학] 민생회복지원금 후광효과 지속하려면…
  • 넷마블·콩스튜디오 맞손
  • ‘복지 사각지대’ 가족돌봄아동에 손 건넨다
  • 이들이 별을 너무 따서 이제 없다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청년 41.7% 수도권 떠나 지역으로 이주 생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