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KT 구조조정 후 여섯 번째 죽음… “비용 절감이 목숨보다 중한가”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9.08 17:47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KT(대표 김영섭)가 지난해 10월 5800명에 달하는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한 뒤 불과 10개월 만에 노동자 6명이 잇따라 목숨을 잃는 비극이 발생했다. 자회사 전출과 강제 발령, 과중한 업무에 따른 극심한 압박이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구조조정이 만든 사회적 타살’이라는 비판이 거세다.


KakaoTalk_20250908_175201877.jpg
2024년 7월 KT 사옥앞. 김영섭 KT 사장의 면담을 요구하는 대리점 피해자 측의 시위물이 놓여 있다. 사진=위메이크뉴스 DB

 

지난달 중순 KT 자회사(KT netcore)로 전출된 50대 노동자가 사망했다. 올해 들어서만 자회사 전출자 두 명이 세상을 떠났다. 같은 달 토탈영업TF 소속 직원도 심정지로 쓰러져 숨졌다. 구조조정 이후 자살·돌연사 등으로 확인된 죽음은 벌써 여섯 건에 이른다.


구체적으로는 ▲지난해 11월 명예퇴직자의 심장마비 사망 ▲올해 1월 토탈영업TF 소속 40대 직원의 자살 ▲5월 또다른 TF 직원 자살 ▲6월 자회사 전출자 자살 ▲8월 토탈TF 직원 심정지 사망 ▲8월 자회사 전출자 사망 사례가 보고됐다.


KT 내부에서는 “무리한 구조조정의 후폭풍”이라는 말이 나온다. 자회사들은 준비 부족과 재정난으로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고, 남은 직원들은 ‘토탈영업TF’ 등으로 강제 발령돼 과도한 실적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구조조정의 피해가 남은 직원과 전출 직원 모두에게 치명적 후유증을 남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시민사회와 노동계는 “노동자의 죽음은 단순한 개인 선택이 아니라 회사의 무책임한 경영과 강압적 구조조정이 낳은 사회적 참사”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김영섭 사장은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하며, KT는 더 이상의 희생을 막을 근본 대책을 내놔야 한다는 것이다.


정부의 책임론도 커지고 있다. 노동계는 “노동부가 특별근로감독을 통해 현장의 괴롭힘과 차별적 발령을 철저히 조사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KT는 올해 1조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실적 개선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반복되는 죽음 앞에서 ‘비용 절감이 목숨보다 중하냐’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동서식품, ‘컬러 오브 맥심’ 한정판 패키지 출시
  • KBS, 실제 적자 1,850억 원... 제작비 깎아 ‘적자 축소’ 논란
  • 기아, 라파엘 나달과 21년 동행… 글로벌 파트너십 연장
  • 감성과 기술의 융합, 감정의 파동을 깨우는 앱 ‘컬러힐링알람’ 출시
  • 김병곤 박사 “저속노화, 결국 운동이 전부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 시속 300km 질주 중 ‘쾅’… 자갈 튀어 고속열차 유리창 663건 파손
  • ‘K-컬처 300조’ 외치지만… 박물관엔 ‘빈 지갑’뿐
  • 발달장애 청년 돕는 착한 팝업 성수에 열린다
  • 경주서 ‘APEC 정상회의’ 맞이 특별전… 한국 미술의 전통과 현대 한자리에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KT 구조조정 후 여섯 번째 죽음… “비용 절감이 목숨보다 중한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