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월 1일은 전월과 상품 판매조건이 바뀐다.
편의점들은 1+1, 2+1, 할인상품 등 특별한 조건이 따르는 상품을 표시하는
쇼카드를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바쁘다.
이름대면 알만한 스테디셀러상품도 가끔 할인행사를 하지만
C콜라, K맥주, 담배는 할인행사를 하지 않는다.
사실 담배 할인행사를 하여 애연인구 늘어난다면
국민건강을 해쳐 사회적으로 해악이 되고
잘 팔리는 상품 굳이 끼워팔기, 할인행사를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콜라 중에서 가장 C콜라 비싸다고 불평하는 사람없고
비싸다고 다른 콜라 찾는 사람 많지 않다.
독보적이랄까......
결국, 신제품이 기존 시장에 진입하 시장 진입의 벽은 너무 높다.
고객은 귀에 익은 브랜드와 익숙해진 맛, 아니 길들어진 맛을 찾는다.
내가 어릴 때부터 찾았던 상품들이 굳건하게 자리를 잡고 있다.
신제품 출시와 함께 행하여지는 1+1, 2+1, 할인행사,
그러나 2등 제품군의 노력이 쉽게 매출로 이어지지 않는다.
우리가 상품을 선택하는가,
우리가 상품에 길들어졌는가?
곰곰이 생각하자.
글= 편의점 아재 625(유기호)
♣편의점 아재 625 칼럼은 기존 기사체에서 벗어나 일상 속에서 느낀 점을 수필형 문체로 독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소상공인 사업장의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요즘 거리의 가게를 보면, 무인결제기와 스마트미러, 키오스크가 낯설지 않다.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초기 성과 면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가게 문을 지키는 소상공인들은 이렇게 묻는다. ‘이 기술... -
[이상헌의 성공창업] 민생지원금, '단비인가 ·독배인가'
최근 정부가 추진 중인 ‘민생회복지원금’이 다시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섰다. 경기 침체 속에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되살리기 위한 정책이라는 점에서 명분은 분명하다. 그러나 단기적 경기 부양과 함께 재정 건전성, 물가 안정, 정책 효율성 등 여러 구조적 과제가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 -
[이상헌의 성공창업백서] 부동산과 창업, ‘공간경제’의 핵심 연결고리가 정답
창업은 흔히 ‘아이템’에서 시작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공간’에서 완성된다. 사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바로 부동산이다. 상권 입지, 임대료, 유동인구, 공간 활용 구조 등 부동산 요소가 창업의 생존률을 좌우한다. 그만큼 부동산은 창업의 무대이자 진입장벽이며, 더 나아가 지... -
[신박사의 신박한 칼럼] 소상공인 재기의 불씨, ‘희망리턴재기지원사업’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 경제는 여러 위기와 변화 속에서 많은 소상공인들이 어려움을 겪어 왔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영업 제한과 소비심리 위축은 모든 소상공인들을 힘들게 만들었고, 경기하락에 따라 지역경제에도 큰 충격을 안겨줬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창업 생태계의 리셋이 필요하다
국내 자영업의 위기가 통계로 드러났다. 최근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개인사업자 10명 중 7명이 월 100만원조차 벌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소득 0원’으로 신고한 사업장만 100만 곳을 넘어섰다. 자영업이 한국 경제의 절반을 지탱해 온 기반 산업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단순한 경기 침체가 아니라 경제 생태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