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진에 들어왔을 때 고1이나, 고2였던 아이들이
벌써 담배, 술살 수 있는 나이,
성년이 되었다.
더러는 대학 진학하고
사내아이들은 군에 갔다.
그 중 몇은 진로를 정하지 못하고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고등학교 때부터 우리 가게 드나들던 여자 아이
가끔 들러 아르바이트 피곤하다 하소연하고 간다.
이 녀석 오늘은
"쌍거풀 수술하면 예뻐질까요? 며칠 후 쌍거풀 수술해요."
"아니 안 예뻐져, 나는 자연스러운게 더 예뻐"
"그럴까요?, 그래도 수술 한 이후 모습이 기대돼요"
들떠 있는 아이에게 더 이상 찬물을 끼얹기 싫어
"지금도 예쁘지만 수술이 잘 돼 더 예뻐졌으면 좋겠다."
소주 몇 병과 담배 챙기며
한톤 높아진 밝은 소리가 들린다
"예쁘게 잘 될 거예요. 안녕히 계세요."
아이야.
나는 지금의 네 모습이 훨씬 예쁠 것 같다.
너는 눈이 크지 않지만 매력적이다.
그러나 쌍거풀 수술 기대해보마.
* 수술 후 눈이 부운 채로 만났다.
녀석 왈 "요즘 쌍거풀 수술이 아니라 시술이예요"라고 한다.

글/사진= 편의점 아재 625(유기호)
♣편의점 아재 625 칼럼은 기존 기사체에서 벗어나 일상 속에서 느낀 점을 자유로운 문체로 독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배리어프리’는 비용이 아닌 투자다
디지털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생존 전략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시행하는 '2025년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소상공인들에게 현실적 희망을 주고 있다. 인건비 상승과 소비 패턴 변화 속에서 무인화·자동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다. 최근 경쟁력이 떨어지는 소상공인에게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 -
병원동행 서비스, 돌봄 공백 채울 실효적 대안이다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한국에서, 노인복지의 사각지대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병원 동행’ 문제는 그동안 충분히 주목받지 못했지만, 실상 고령자 개인은 물론 가족과 지역사회 전체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대표적인 돌봄 공백이다. 고령자는 만성질환을 동반한 정기적인 병원 방문이 필수적이다.&n... -
[신박한 컨설팅] 상권 활성화 정책의 재발견
정부는 지역 상권의 활성화를 위해 상권활성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상권의 유형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과연 현재의 일률적 지원 정책이 상권의 특수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깊은 성찰이 요구된다. 이른 전통시장지원사업의 사례에서도 명확히 드러난다. 예를 들어, 골목형... -
“인건비·임대료에 막힌 소상공인, 해결책 절실하다”
우리 주변에는 작은 가게들, 자영업자들, 그리고 1인 혹은 가족이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이 셀 수 없이 많다. 그러나 이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거나, 알면서도 쉽게 해결책을 마련해주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이들의 공통적인 문제는 대부분 ‘자금난’을 겪는다는 점이다. 인건비, 원자재값,... -
[신박한 컨설팅] 작은 그림자가 키우는 큰 성공…소상공인의 길
창업을 준비하는 이들이 가장 먼저 품는 바람은 단순하다. '내 가게가 성공하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수많은 소상공인들이 실패와 좌절을 겪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는 작은 출발에서 큰 성공으로 나아간다. 무엇이 차이를 만드는가. 답은 의외로 단순하다. 작은 것을 소홀히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