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금)
 

지속적인 학령 인구 감소와 코로나19 장기화로 국내 교복업계가 막대한 타격을 입고 있다. 여기에 해마다 반복되는 학교주관구매 입찰 지연까지 겹치면서 업계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되는 상황이다. 


1Z58J5N025_4.jpg
한복교복 시범사업이 시작되어 일부 학교에서 한복교복 입고 등교가 시작됐다. 사진=문체부 제공

 

2015년부터 시행된 '교복 학교주관구매 제도'는 각 학교가 입찰을 통해 교복 납품업체를 선정하고 일괄 구매해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방식으로, 전국 국공립 중·고등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교육부는 각 학교에 전년도 8월 말까지 납품업체 선정을 마치도록 권고하고 있지만, 강제성이 없어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이다.


지난해 8월 한국학생복산업협회가 조사한 '2021학년도 전국 시도 교육청별 입찰 현황'에 따르면, 학교주관구매를 실시하는 3,235개 학교 중 8월 말 이전에 업체를 선정한 학교는 전체의 7%(213개)에 불과했다. 


이는 전년 대비(2020학년도) 226개 감소한 수치로, 입찰 및 사업자 선정 지연 문제는 나날이 심화되는 추세다.


빈번한 입찰 지연은 교복산업 전반의 경영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 교복 생산을 위한 원단 주문부터 최종 납품까지는 약 5~6개월이 소요되는데, 입찰이 늦어져 발주가 지연될 경우 하복 생산이 완료되는 6월부터 9월 이후까지 일감 공백이 발생해 공장 가동률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교복 생산이 4분기(10~12월)에 집중되면서 업체의 납기 부담은 더욱 가중되고, 무리한 납기 요구로 인한 특근으로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등 피해가 뒤따르고 있다.


한국학생복산업협회에 따르면, 주관구매제가 실시된 2015년부터 2020년까지 6년간 휴폐업한 협력업체(원단·부자재·봉제공장 등)는 총 100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 교복 브랜드사(엘리트, 스마트, 아이비클럽, 스쿨룩스)의 대리점 상황도 녹록치 않다. 같은 기간 휴폐업한 브랜드사 대리점은 총 132곳으로, 대리점 수는 주관구매제 시행 이전인 2014년 대비 약 18.5%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교복 상한가 현실화에 대한 필요성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2022년도 교복 학교주관구매 상한가는 30만8400원으로, 전년도 수준으로 동결됐다. 


미국의 중국산 면화 수입금지 조치에 따른 면화 공급 부족으로 글로벌 면화값이 상승하고, 코로나19로 인한 국제 유가 상승으로 폴리에스터 원료 가격이 높아졌지만, 현재의 상한가는 이 같은 원가 상승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늘어난 인건비 부담도 상한가 책정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협회 측은 덧붙였다.


한국학생복산업협회 관계자는 "학생 수 감소와 주관구매 상한가 제한, 최저가 입찰 등으로 교복업계의 시름이 깊어지는 가운데, 입찰 지연 문제마저 계속 반복될 경우 교복산업의 붕괴가 우려된다"며, "생존 위기에 직면한 교복업계를 위해서는 교육부와 교육청이 실질적인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

  • 7279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교복업체 "잦은 입찰 및 사업자 선정 지연으로 경영 악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