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민 추석 평균 지출 20만∼50만원, 온라인 장보기 증가”

  • 류근석 기자
  • 입력 2021.09.17 15:19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17일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3/4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추석 경기 진단’ 조사 결과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2021년 3/4분기 93.2로 전 분기 대비 0.3p 소폭 상승하며 2분기 연속 90선을 유지했다. 


서울의 소비자태도지수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2021년 2/4분기 처음으로 90선을 회복했다(소비자태도지수는 100을 넘으면 경제전망이나 소비지출 전망을 긍정적으로 본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반대다).


소비자태도지수는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급증,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그에 따른 급속한 물가 상승 등이 국내·외 불안 요인으로 작용해 불확실성이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이다(그림1 참조).


1.jpg

 

소비자태도지수의 구성 요소인 ‘현재생활형편지수’와 ‘미래생활형편지수’ 모두 전 분기 대비 상승했다. 현재생활형편지수는 전 분기 대비 2.6p 상승한 79.2를 기록해 2분기 연속 상승세를 보였고, 미래생활형편지수 역시 전 분기 대비 2.0p 상승한 97.1로 조사됐다. 


1년 후 가구 생활 형편의 호전 이유로는 ‘가계소득 증가’와 ‘보유자산의 가치 상승’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그림2 참조).


2.jpg

 

2021년 3/4분기 서울시민의 ‘내구재 구입태도지수’는 전 분기 대비 0.3p 하락한 81.6으로 나타난 반면, ‘주택 구입태도지수’는 전 분기 대비 1.5p 상승한 58.0을 기록하며 2분기 연속 상승했다(그림3 참조).


3.jpg

 

4분기 연속 상승세를 보이던 ‘고용상황전망지수’는 2021년 3/4분기에 전 분기 대비 2.5p 하락한 76.0을 기록했고, ‘순자산지수’와 ‘물가예상지수’는 각각 0.4p, 1.9p 소폭 상승했다(그림4 참조).


4.jpg

 

한편 서울 지역 표본 1200가구를 대상(응답 1200명)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한 결과, 서울시민 64.4%가 올 추석 경기가 지난해보다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올 추석 지출은 지난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55.8%로 가장 높았으나, 줄어들 것이라는 응답도 31.8%로 상당수를 차지했다.


추석 연휴 이동 계획을 묻는 질문에는 서울시민 65.1%가 ‘이동 계획이 없다’고 응답했으며, 추석 민생 안정 대책 1순위로는 54.3%가 ‘코로나19 감염병 대응’을 꼽았고, 다음은 ‘추석 성수품 물가 안정(24.0%)’, ‘소비심리 회복(7.5%)’ 순으로 조사됐다(그림5 참조).

5.jpg

 

서울시민의 올 추석 예상 지출액은 ‘20먼∼50만 원 미만’이 36.8%로 가장 많았으며, 50만∼100만 원 미만이 29.4%, 20만 원 미만이 16.8%로 집계됐다. 5년간 서울시민의 추석 예상 지출액을 살펴보면 ‘20만 원 미만’ 비중(2017년 6.9%->2021년 16.8%)이 가장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추석 준비 시 가장 부담되는 비용은 ‘가족 및 친·인척 용돈’이 43.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명절 선물비(27.3%)’, ‘추석 상차림비(22.8%)’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그림6 참조).

6.jpg

 

추석 상차림을 위한 1순위 제품 구입 장소는 ‘대형마트’가 49.0%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은 ‘전통시장(20.2%)’, ‘온라인 쇼핑몰(14.0%)’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추석 상차림 제품 구입 장소 중 ‘온라인 쇼핑몰’ 비중이 2017년 1.9%에서 2021년 14.0%로 큰 폭 상승했다(그림7 참조).

7.jpg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KBS, 실제 적자 1,850억 원... 제작비 깎아 ‘적자 축소’ 논란
  • 기아, 라파엘 나달과 21년 동행… 글로벌 파트너십 연장
  • 감성과 기술의 융합, 감정의 파동을 깨우는 앱 ‘컬러힐링알람’ 출시
  • 김병곤 박사 “저속노화, 결국 운동이 전부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 시속 300km 질주 중 ‘쾅’… 자갈 튀어 고속열차 유리창 663건 파손
  • ‘K-컬처 300조’ 외치지만… 박물관엔 ‘빈 지갑’뿐
  • 발달장애 청년 돕는 착한 팝업 성수에 열린다
  • 경주서 ‘APEC 정상회의’ 맞이 특별전… 한국 미술의 전통과 현대 한자리에
  • 국립박물관 13곳 중 장애인 관람 전면 지원은 단 3곳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서울시민 추석 평균 지출 20만∼50만원, 온라인 장보기 증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