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병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137명이 연이어 발생하고 그 중 21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병원에서 사망한 환자 유가족은 병원의 초기 대응 부실 의혹을 제기하면서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청원을 올렸다. 안동병원은 경북 북부지역 권역거점의료기관이다.

지난 6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경북 안동병원과 안동시 방역 당국을 조사해 달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유가족인 청원인은 “저희 어머니는 작년 12월 9일 경미한 뇌경색으로 해당 병원 11층 간호간병통합병동에 입원하셨다가 같은달 14일에 병동내 감염으로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으시고 그 다음주 수요일에 돌아가셨다”라며 “다발골수종이라는 기저질환이 있었지만 지난 5년동안 잘 관리해 오고 있었고 4주 마다 한번씩 외래를 다니고 있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어머니는 현재까지 나온 **병원발 20명의 사망자 중 2번째 사망자시다”라며 “화이자 2차까지 접종완료한 상태셨지만 돌파감염이 됐다. 가족들이 임종도 지키지 못하고 혼자 쓸쓸히 돌아가셨고 “선화장 후장례” 절차를 따라 돌아가신 당일 같은 병동에서 코로나로 돌아가신 다른 한 분(3번째 사망자)과 함께 바로 화장을 해야만 했다”라고 토로했다.

유가족인 청원인은 “어머니를 갑작스럽게 보내드린 것이 너무 안타깝고 원통한 마음”이라며 “병동 내 코로나 감염만 아니었어도 어머니는 여전히 저희 옆에 살아 계셨을 것”이라고 호소했다.
청원인의 어머니는 경미한 뇌경색 증세로 지난해 12월 9일 안동병원을 찾았다. 당시어머니는 치료 당일 바로 회복했으나 병원 측 권유로 11층 병동에 입원했다. 어머니는 화이자 백신 2차 접종을 완료했지만 돌파감염으로 같은 달 14일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았고, 8일 후인 22일 숨졌다. 입원 이틀 뒤인 12월 11일 해당 병원 11층 병동에서 종사자 1명을 시작으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청원인은 “어머니는 기저질환이 있었지만 지난 5년 동안 잘 관리해 오고 있었고 인근 도시인 경북 영주에서 혼자 고속버스를 타고 안동병원을 오가며 시장을 보고 음식을 하고 가끔 친구도 만나는 등 일상생활을 하는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병원 종사자로부터 감염이 시작됐는데도 이를 환자와 보호자에게 알리지 않아 확진자와 비확진자가 같은 병동에서 함께 주말을 보냈다”며 “12월 13일에야 부랴부랴 코호트(동일집단) 격리에 나서고 환자와 종사자에 대한 전수검사를 실시했다”고 병원 측의 대응을 지적했다. 안동시에서 안동병원에 진입하여 통제하려 했지만, 병원 측에서는 자체적으로 검사하겠다며 검사에 필요한 물품 공급만 요청했다고 알려졌다.
청원인은 “확진자가 쏟아지는데도 11층 환자들을 개별적으로 격리도 없이 11층으로 들어가는 입구만 봉쇄한 상태였다”면서 “22일이 돼서야 7층에 음압병실 50여개를 구축하는 등 뒤늦게 대응에 나섰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병원도 아닌 권역거점의료기관에서 어떻게 이렇게 많은 사망자와 높은 치명률이 나올 수 있는지 이해되지 않는다”며 안동시와 안동병원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감사를 요구했다.
안동시 등에 따르면 안동병원에서는 지난달 11일 10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 8일까지 모두 127명의 확진자가 잇따라 발생했다.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해당 병원 연관 확진자까지 포함하면 안동병원발 확진자는 모두 137명이다. 이들 중 21명이 사망했다.
병원 측은 최초 확진자가 나온 11층 병동을 폐쇄조치했다고 밝혔지만 이후 5층, 7층, 3층, 정신과 격리병동 등 병원 전체에서 의사, 간호사, 간병사, 간호실습생, 방사선사, 미화원 등 병원 종사자가 무더기로 확진됐다.

해당 병원은 최초 확진자 발생 18일 만인 지난달 28일 확진자가 100여명을 넘어서자 재단 대표이사 명의로 ‘송구스럽다’는 내용을 담은 성명을 병원 홈페이지에 게시했다.
BEST 뉴스
-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 '여자 사우나에서 X싼 사람 나와'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주상복합단지 래미안 원베일리 내부 여성 사우나에서 인분이 나왔다. 아파트 측은 조사에 착수했으며, 법적 조치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원베일리 커뮤니티 사우나에 거치된 공지문 사진=SNS 7일 래미안 원베일리 커뮤니티 측이 사우나에 공... -
[단독] 급성장한 미소 서비스, ‘좋은 플랫폼’ 평가 속 반복되는 불만 목소리
국내 대표 홈서비스 플랫폼 미소(Miso)가 생활편의를 크게 높인 혁신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15년 설립 이후 누적 고객 500만 명, 거래 파트너 8만 명을 확보하며 누적 거래액 1조 원을 돌파했고, 최근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빠른 성장 뒤에는 끊이지 않는 고객 불만과 서비스 품질 문제가 드러나고... -
급전 찾는 5060…저축은행·카드론·캐피탈 고령층 연체율 ‘비상’
서울의 한 저축은행 사진=연합뉴스 저축은행과 카드론, 캐피탈 등 제2금융권에서 60세 이상 고령층의 신용대출 연체율이 빠르게 치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20개 저축은행, 8개 카드사, 10개 캐피탈사로부터 제출받은 ‘2021~2025년 연령대별 ... -
직장인 3명 중 1명 “채용 사기 경험”
일러스트=픽사베이 직장갑질119가 여론조사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6월 1일부터 7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수습 갑질 해결을 위한 채용절차법 확대 적용 동의 여부’를 조사한 결과, 직장인 3명 중 1명가량(35.3%)이 입사 당시 확... -
“공항라운지 무료가 진리”… 트래블카드 ‘최애’는 신한카드
국내 최대 신용카드 플랫폼 카드고릴라가 진행한 ‘가장 유용했던 트래블카드 혜택·기능’ 설문에서 ‘공항라운지 무료’가 1위를 차지했다. 해당 혜택을 갖춘 ‘신한카드 SOL트래블 체크’는 블라인드 조사에서 압도적 지지를 받으며 ‘최애 트래블카드’로 꼽혔다. 인포그래픽=카드고릴라 제공 ... -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소득·자산 기준 따른 선별 지급 가닥
정부가 다음 달 22일부터 전 국민의 90%를 대상으로 1인당 10만 원을 지급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의 구체적 지급 기준을 마련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는 소득·자산 조건을 따져 선별 지급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안내문 붙은 전통시장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