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투약률 1.6% 그친 '팍스로비드' 처방 대상 60세 이상으로 확대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2.01.22 08:37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펜데믹의 종지부를 찍을 '게임체인저'로 기대를 모았던 먹는치료제(경구용 치료제)의 투약이 예상을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처방 기준을 현행 65세 이상에서 60세 이상으로 낮춰 투약 대상 확대에 나섰다.

 

Screenshot 2022-01-22 at 08.36.43.jpg
화이자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사진출처=화이자)

방역당국은 투약 기준 등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처방이 어렵지 않도록 개선할 예정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지난 21일 '코로나19 먹는치료제 투약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현행 투약 가능 연령을 65세에서 60세로 확대하고, 노인요양시설과 요양병원, 감염병 전담병원 등으로 치료제 공급기관을 늘리기로 했다. 


지난 13일 국내에 들어온 화이자 '팍스로비드'를 처방받은 확진자는 14일부터 지난 20일까지 일주일 간 총 109명에 그쳤던 것으로 파악됐다. 팍스로비드 초도물량은 2만1천명분으로 정부는 하루 1천명 이상에게 처방할 것으로 발표했으나 예상은 빗나갔다. 하루 최대 1000명으로 계산하면 1주일동안 7000명에게 투약됐어야 하는데 2%에도 못미치는 109명에 그쳤다는 것은 엄연한 실패다. 


정부가 확보한 코로나19 먹는치료제는 팍스로비드 76만2천명분, 머크앤컴퍼니(MSD)의 몰누피라비르 24만2천명분 등 총 100만4천명분이다. 


먹는 치료제 투약률이 저조한 이유는 아직 도입 초기인데다 고령층의 높은 예방 접종률 등 방역조치로 인해 투약 대상자 수가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방역당국은 해명했다.


정부의 분석대로 투약 대상자를 60세 이상으로 확대하면 수치상 약 30%정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65세 이상에서 나타났던 결과처럼 실제 30%보다 적게 처방받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의료 현장에서는 정부의 정확한 가이드라인 부재가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우선 먹는 치료제와 함께 복용할 수 없는 병용금기 의약품이 많다. 또한, 신장이나 간이 좋지 않은 기저질환 환자도 투약하기 곤란하다. 


팍스로비드는 진통제 '페티딘', 항협심증제 '라놀라진', 항부정맥제 '아미오다론', 항통풍제 '콜키신' 등은 팍스로비드와 함께 먹을 수 없다. 항불안제 '세인트존스워트', 항간질제 '카르바마제핀'·'페노바르비탈'·'페니토인', 항결핵제 '리팜피신', 항암제 '아팔루타마이드' 등은 복용을 중단했더라도 팍스로비드 투약이 불가능하다.


처방을 내리는 의사 입장에서는 명확한 가이드가 없는 경우 소극적 처방을 할 수 밖에 없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AI 선생님이 내 옆에 있다”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 부산시, 해수부 직원에 ‘역대급 주거 지원’… 관사 470채·현금 인센티브까지
  • 50년 역사 명가명품 가나초콜릿, 스페셜 에디션 출시로 기대감 높여...
  • 욕설·침 뱉기·스토킹… 경찰 민원인 위법행위 3년 새 4배 급증
  • 尹 정부 들어 LH 공공택지 공급 급감… 미매각·해약 속출
  • OECD 원자력기구 “韓 SMR, 세계적 수준”… i-SMR 10위·스마트100 13위
  • 5년간 소나무재선충병 413만 그루 감염… 경북 피해 ‘최다’
  • 윤건영 “내란 당일 국정원, 계엄사 인력 파견·조사팀 구성 검토”
  • 한국토요타, 추석 맞이 서비스 캠페인 진행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투약률 1.6% 그친 '팍스로비드' 처방 대상 60세 이상으로 확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