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 장기후유증으로 사망 의심사례 120건 확보

  • 류근석 기자
  • 입력 2022.06.05 14:17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코로나19의 장기 후유증, 일명 '롱 코비드'(long COVID)가 심한 경우 환자가 사망에 이를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고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PGT20210107122601055.jpg
2021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치료 중인 코로나19 환자 사진 AP=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산하 국립보건통계센터(NCHS)는 미국 전역에서 롱 코비드 혹은 코로나19 후유증 등 관련 증상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사망 사례 120건을 확보했다.


의사나 검시관 등이 서명한 사망진단서의 사망 원인란에 '롱 코비드' 등이 기재된 사례를 찾는 방식이다. NCHS는 이 기준에 해당하는 사망 사례를 2021년 60건, 2022년도 5월까지 60건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지금까지 학계나 미국 보건 당국에서 롱 코비드의 진단 기준을 수립하지 못한 상황이어서 사망진단서의 내용을 무조건 신뢰할 수는 없다는 지적도 존재한다.


코로나19 장기 후유증을 겪는 환자가 아닌데도 진단서에 사인이 롱 코비드로 기재됐을 수 있고, 반대로 환자인데도 사인이 롱 코비드가 아닌 다른 용어로 기재되거나, 아예 다른 원인으로 사망 원인을 판단했을 수도 있다. 롱 코비드는 아직 정체가 다 파악되지 않았다. 유병률도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고 치료법 개발도 오리무중이다.


확보된 사망 사례도 결국 코로나19 장기 후유증이 결정적 사망한 원인이었는지 사례별로 구체적인 자료 검토가 필요한 셈이다.


CDC는 폴리티코에 "롱 코비드로 인한 사망 사례 확인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숫자는 곧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국의 지침은 없지만 의료 일선에서는 이미 현장 의료진의 자체적인 전문적 판단에 따라 롱 코비드를 진단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코로나19 확진 경험이 있는 환자 가운데 장기간 피로·호흡곤란·머리가 멍한 상태 등이 계속되는 경우 롱 코비드 환자로 결론 내리는 사례가 많다고 폴리티코는 전했다.


CDC는 지난달 27일 발표한 연구에서 미국인 코로나19 확진 경험자의 약 20%가 롱코비드를 앓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롱 코비드 관련 연구를 선도하는 애리조나의대 사이람 파르타사라시 호흡기내과장은 폴리티코에 "이미 의료계는 코로나19 후유증의 심각성에 대해서 파악하고 있다"며 "의료계의 판단을 신뢰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 국민연금 책임투자 자산 중 97% ‘ESG 워싱’ 논란
  • 웅진식품, ‘2025 JTBC 서울마라톤’ 공식 음료로 참여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코로나 장기후유증으로 사망 의심사례 120건 확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