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규근 “드레스 수입 3배 늘었는데 업체 수는 제자리… 탈루 의혹 전수조사 필요”
 
결혼을 준비하는 예비부부들의 어깨를 짓누르는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비용이 최근 5년 새 폭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은 늘었지만 사업자 수는 제자리걸음이거나 소폭 증가에 그쳐 ‘가격 부풀리기’ 등 시장 구조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13일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정책위의장·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스드메 관련 주요 업종의 수입금액이 2019년 1,170억원에서 2023년 3,147억원으로 2.6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드레스(의류임대업)의 경우 수입금액이 611억원에서 1,975억원으로 3배 이상 늘었지만, 법인 사업자는 5년 새 단 7곳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개인사업자는 42곳 증가했다. 이에 비해 스튜디오(사진 및 처리업)는 사업자 수와 수입 모두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법인 수입은 2.8배, 개인 수입은 1.9배 증가했으며, 사업자 수 역시 두 배 이상 늘었다.
이같은 시장 과열은 소비자 불만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결혼준비대행업(웨딩플래너)’ 관련 피해 상담은 2021년 790건에서 2023년 1,293건으로 약 63% 증가했다. 계약 전 정확한 견적 안내 없이 진행되는 ‘깜깜이 계약’과 결혼 직전 갑작스러운 ‘추가금 폭탄’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한 국세청은 올해 2월, 스드메 비용 부풀리기 등 탈세 혐의에 대한 세무조사에 착수했다. 공정거래위원회 역시 올해 4월, 과도한 위약금과 불공정 계약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결혼준비대행업 표준약관을 제정했다.
차 의원은 “고액의 결혼 준비비용은 혼인율과 출산율 하락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인 ‘스드메 견적 투명화’를 본격 이행하고, 24곳에 그친 국세청 조사도 전수조사로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BEST 뉴스
- 
									
										
										암 진료비 1위는 유방암… 5년 연속 ‘1조7천억 원대’ 최고치 기록
유방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조기 발견을 독려하기 위한 핑크리본 캠페인 이미지 출처=대한암협회 우리 국민이 가장 많은 진료비를 지출한 암은 ‘유방암’으로 나타났다. 유방암은 2024년 기준 총진료비 1조6,999억 원을 기록하며 5년 연속 전체 암 가운데 1위를 차지했... - 
									
										
										손씻기 실천율 증가… ‘올바른 손씻기’는 10% 수준
‘용변 후 손씻기 실천율’은 84.1%, ‘비누를 사용한 손씻기 실천율’은 45.0%로 전년(76.1% / 31.8%) 대비 상승하였다. 다만, 30초 이상 비누를 사용하여 ‘올바르게 손을 씻은 경우’는 10.3%로 전년(10.5%)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용변 후 손을 씻는 전체 시간은 평균 12.2초로 전년(10.9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