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의 영산인 백두산으로 가는 길은 다양하다. 과거에는 옌지(延吉)로 들어가 5시간쯤 차를 타고 얼다오바이허(二道白河)를 거쳐서 장백폭포 방향으로 가서 여행하는 북파노선이 유일한 노선이었다.

지금은 통화에서 송강하를 경유해 가는 서파는 물론이고 창바이셴(長白縣)을 통해 가는 동파 등 다양한 여행길이 있다. 또 산문 근처에 비행장이 개통했다.
백두산의 해발은 2744m이다. 산 위에는 사시사철 눈이 쌓여 있고 많은 암석들이 흰색을 띠고 있으므로 백두산이라 했다.
중국에서는 창바이산(長白山)으로 부른다. 백두산은 송화강, 두만강, 압록강의 3대 강물의 발원지다. 서쪽, 북쪽, 남쪽은 물론이고 북한 삼지영쪽인 동으로 난 물길도 있으니 온 생명의 발원지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다.
필자는 다섯차례 백두산을 찾았다. 전부 여름이었다. 초여름 독립운동가를 취재하는 길에 천지에 닿았을 때는 6월 말임에도 천지는 얼어있어 신비한 느낌을 주었다.
어떤 때는 필자의 마음이 잘못됐는지 천지는 온통 안개로 덮여 있어 물의 흔적조차 보여주지 않은 때도 있었다. 사실 백두산 영봉이 둘러싼 천지를 보기 전에 막연히 하는 ‘민족의 영산’이라는 말을 실감하지 못한다. 하지만 이곳을 보는 순간 우리 민족의 시원이 이곳에서 나왔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천지의 입구인 바이허는 백두산 입구 마을이다. 백두산으로 가는 첫걸음은 먼저 바이허로 들어오는 일부터 시작된다. 바이허는 얼도우바이허와 붙어 있다.
바이허에서 백두산 첫 관문인 산문 매표소까지는 자동차로 약 40분 걸린다. 산문 안은 이제 하나의 시스템으로 움직이는 여행지다. 산 안에서는 환경차만이 이동하게 해서 산문에서 내부 환경차를 따라 잡아야 한다.
내부로 들어가면 우선 천지(天池)에 가장 많은 관심이 쏠릴 것이다. 지금 천지를 보는 노선은 접근하는 방식에 따라 많이 다르다. 우선 이전부터 지프로 올라보는 톈원펑(天文峰)이 대표할 만한 곳이다.
우리 민족의 정신이 발원한 곳인 천지는 하늘과 물이 연결되고 파란 수면에 흰 구름이 떠돌아 경치가 수려하다. 하지만 평상시에 구름이 많이 끼고 폭우와 우박이 자주 내려 쉽게 이런 정경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코스의 최대 약점은 평상시 천지를 볼 수 있는 시간이 거의 없어 상당수의 사람들이 천지를 보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 워낙 날씨가 춥고, 지프의 대기 시간이 있어서 마냥 기다릴 수도 없다.
다음은 창바이 폭포에서 오른쪽으로 난 길을 따라 걸어올라가 달문(達門)에서 천지를 보는 방법이 있다.
천지의 전경을 볼 수 없지만 천지를 보고 물을 만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송강하를 지나서 시작되는 서파로 갈 경우 칭스펑(靑石峯)에서 천지를 볼 수 있고, 능성을 따라 달문으로 가는 트레킹 노선도 많이 개발되어 있다.
비룡폭포(飛龍瀑布)는 천지의 물이 달문으로 흘러나와 이른 아름답고 장엄한 폭포다. 중국에서는 창바이푸프(長白瀑布)라 불리는 비룡폭포는 쑹화지앙(松花江)의 근원이 되는 곳이다.
비룡폭포 아래에는 백두산온천은 수온이 82℃까지 치솟는다. 온천 아래에 있는 여행지구 아래쪽에는 소천지가 있다. 천지처럼 크지는 않지만 신령한 기운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많은 이들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소천지에서 산문으로 향하는 길에는 위앤스선린(原始森林)이 있다. 이곳은 백두산 삼림의 다양한 면모를 볼 수 있는 곳이자 삼림욕의 장소인데 놓치는 이들이 많다.

40분 정도 나무로 만든 숲길을 따라가면 광활한 삼림 지구가 나타난다. 삼림욕이라 생각하고 걸으면 더 없이 아늑한 코스다.
백두산은 사방이 빽빽한 삼림으로 둘러싸여 있고 고목들이 하늘을 찌르고, 구름을 덮고 태양을 막았다 하며 ‘백두산 린하이’(長白山林海)라 부르게 되었다. 사실 일반 여행자들은 시간 때문에 이곳을 여행하는 이들이 많지 않은데 유감스러운 일이다.
글 사진= 조창완 여행 작가/ 중국자본시장연구회 부회장
BEST 뉴스
-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배리어프리’는 비용이 아닌 투자다
디지털 전환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생존 전략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시행하는 '2025년 소상공인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소상공인들에게 현실적 희망을 주고 있다. 인건비 상승과 소비 패턴 변화 속에서 무인화·자동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다. 최근 경쟁력이 떨어지는 소상공인에게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 -
병원동행 서비스, 돌봄 공백 채울 실효적 대안이다
초고령사회로 접어든 한국에서, 노인복지의 사각지대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병원 동행’ 문제는 그동안 충분히 주목받지 못했지만, 실상 고령자 개인은 물론 가족과 지역사회 전체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대표적인 돌봄 공백이다. 고령자는 만성질환을 동반한 정기적인 병원 방문이 필수적이다.&n... -
“인건비·임대료에 막힌 소상공인, 해결책 절실하다”
우리 주변에는 작은 가게들, 자영업자들, 그리고 1인 혹은 가족이 운영하는 소상공인들이 셀 수 없이 많다. 그러나 이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거나, 알면서도 쉽게 해결책을 마련해주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이들의 공통적인 문제는 대부분 ‘자금난’을 겪는다는 점이다. 인건비, 원자재값,... -
[신박한 컨설팅] 작은 그림자가 키우는 큰 성공…소상공인의 길
창업을 준비하는 이들이 가장 먼저 품는 바람은 단순하다. '내 가게가 성공하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수많은 소상공인들이 실패와 좌절을 겪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는 작은 출발에서 큰 성공으로 나아간다. 무엇이 차이를 만드는가. 답은 의외로 단순하다. 작은 것을 소홀히 하지... -
[이호준의 문화 Zip] 조지아에서 들려온 실망의 노래
‘Georgia On My Mind’ 최근 한국 기업들을 겨냥한 미국 이민국의 대규모 단속 소식은 우리 사회에 씁쓸한 울림을 남겼습니다. 수십조원이 투자된 현장에서 수백 명의 한국인이 체포되면서, 조지아는 ‘비애의 땅’으로 기억되는 아이러니한 현실을 드러냈습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법 집행을 넘어, 우리 시대가 직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