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흡입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다. 과거에는 단순 ‘날씬해지는 수술’이라는 추상적인 느낌이었다면 이제는 ‘원하는 부위만을 타깃으로 개선하는 비만치료’로 인지되고 있다.
지방흡입은 한번 치료로 사이즈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비만시술이다. 시술 역사도 오래돼 안전성도 입증됐다. 숙련된 집도의로부터 충분히 상담받고 자신의 상황에 맞는 치료계획을 세우면 만족도가 높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수술이라도 체질 등에 따라 이를 받기 어려운 사람이 있다. 지방흡입 특화 의료기관 365mc 대구점 서재원 대표원장의 도움말로 지방흡입을 받기 어려운 유형에 대해 알아봤다.
◆콩알레르기 있다면 어렵다?
‘지방흡입 얘기하다 웬 콩?’이라는 반응을 보일 수도 있다. 이는 수술보다는 수술에 쓰이는 ‘마취제’에 대한 우려에서다.
지방흡입 과정에 앞서 흔히 수면마취제를 활용해 수술에 나선다. 환자의 통증을 지우고 수술에 대한 두려움을 잠재우기 위해서다.
수면마취제 자체는 안전하다. 마취과 전문의가 수술 중 지속적으로 환자를 모니터링하며 적정 용량을 사용할 경우 수술의 질을 높여준다. 다만, 아무리 의사가 모니터링을 잘 하더라도 환자가 마취제에 알레르기를 가진 경우 사용이 어렵다.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수면마취제가 ‘프로포폴’이다. 이는 정맥으로 투여하는데 다른 마취제보다 마취 유도와 회복이 빠른 게 장점이다.
하지만 프로포폴 속에는 대두유(콩기름), 정제란 인지질(난황) 성분이 함유돼 있다. 이렇다보니 콩, 땅콩, 계란 등의 식품에 알레르기 반응과 함께 천식, 아토피 등의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프로포폴 사용을 피해야 한다.
서 대표원장은 “프로포폴은 제대로 사용하면 환자의 수술부담을 줄여주는 좋은 약물이나, 알레르기가 있다며 사용시 주의해야 한다”며 “특히 호흡곤란, 저혈압 쇼크, 후두부종 등이 동반되는 중증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 병력이 있는 환자는 사망에 이를 수 있어 이같은 사실을 의사에게 미리 알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만약 흡입하려는 지방량이 작다면 람스 등 주사로 지방세포를 빼내는 시술을 고려할 수 있고, 허벅지·복부 전체 등 큰 부위에 수술을 받고 싶다면 의사와 상의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마취제를 골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심장질환·폐질환 앓았다면 ‘부담’
지방흡입은 간단한 원리의 시술이나, 지병을 가진 사람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선, 심장·폐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겐 지방흡입이 추천되지 않는다. 보통 수술 시 지방세포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말랑말랑하게 만들어주는 ‘투메센트 용액’을 지방층에 주입하는 과정을 거친다.
서 대표원장은 “만약 관상동맥질환 등 심장에 문제가 있거나 폐질환을 가진 사람에게 투메센트 용액을 주입할 경우 호흡곤란·심장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증 이상 당뇨병 환자, ‘저혈당 쇼크’ 주의
중증 이상의 당뇨병 환자도 이를 피하는 게 권고된다. 지방흡입은 수술 전 금식 후 마취가 필요하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의 경우 저혈당 쇼크가 올 수 있다.
저혈당 쇼크는 급성 당뇨병 합병증의 하나로 혈당치가 70㎎/㎗ 미만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의식을 잃거나 혼수상태에 빠지는 증상이다.
서 대표원장은 “처음엔 식은땀이 나고 손이 떨리며 맥박이 빨라지고 가슴이 두근거린다”며 “증상이 심해지면 갑자기 시야가 흐려지며 의식을 잃을 수 있어 주치의와 충분히 상담한 뒤 지방흡입수술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했다.
◆시술 전 병력·복용약물 정확히 알려야
지방흡입은 안전한 시술이지만 자신의 건강상황에 따라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수술에 앞서 집도의에게 평소 복용하는 약물, 병력, 체질 등을 정확히 알려야 하는 이유다.
단순 문진뿐 아니라 안전성과 만족도를 높이려면 수술 전 면밀한 검사로 현재 몸 상태를 체크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 과정에서 내게서 제거할 수 있는 지방량은 어느 정도인지, 수술 후 어느 정도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서 대표원장은 “만약 지병으로 지방흡입이 어렵다고 하더라도 다이어트 자체를 포기할 필요는 없다”며 “대부분의 질환과 비만의 연관성이 높은 만큼 건강관리 차원에서라도 체중관리를 시행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혼자 체중감량이 어렵다면 비만클리닉에서 전문가와 목표를 정하고 순차적으로 관리에 나서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BEST 뉴스
-
[단독] 환율 미쳤다…미국 공항서 달러당 2100원에 거래 중
미국에서 1달러를 매입하려면 한화를 2000원 이상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만큼 원화 가치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일러스트=픽사베이 13일 미국 캘리포니아 현지 관계자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LA LAX공항 내부 환전소에서 교민들이 달러를 구입할 ... -
올림픽대로 끝자락 ‘스테이지28’ 민간 표지판이 9개나?
서울 강동구 고덕동, 올림픽대로의 끝자락을 달리다 보면 눈에 띄는 표지판이 있다. KB뉴스영상 화면 갈무리 출처=KBS ‘3차로로 진입하세요’라는 안내 바로 옆에 ‘스테이지28 방향’이라는 글씨가 붙어 있다. 분기점에도, 진입로에도, 측도에도 같은 표지판이 반복된다. 세어보니 ... -
가평 크리스탈밸리CC서 카트 추락…70대 근로자 사망
18일 오후 1시경 경기도 가평군 상면 대보리 소재 크리스탈밸리 컨트리클럽(CC) 내 도로에서 작업용 카트가 5미터 아래로 추락해 70대 근로자 2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즉시 구조에 나섰으나, 두 사람 모두 심정지 상태로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된 뒤 사망 판정을 받았다. 사... -
[단독] FDA에 이름 오른 '에이피알'… 'K-뷰티 신화'에 드리운 먹구름
에이피알(APR) 김병훈 대표 사진=연합뉴스 ‘메디큐브(Medicube)’로 대표되는 에이피알(APR)은 국내를 넘어 세계 시장에서 K-뷰티의 새로운 신화를 써 내려가고 있다. 에이피알을 이끄는 김병훈 대표는 ‘디지털 감각’과 ‘공격적 마케팅’으로 SNS 중심의 브랜드 확산 전략을 ... -
매크로 예매는 불법인데… 티켓베이는 왜 처벌받지 않나
티켓구매 (CG) [연합뉴스TV 제공] 프로야구와 인기 가수 공연 티켓을 자동 프로그램(매크로)으로 대량 예매해 되판 업자들이 잇따라 적발되고 있다. 경찰은 최근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프로야구 입장권을 무더기로 예매한 일당을 검거했다. 이들은 초당 수백 회 클릭... -
호반그룹, 성장인가 무리수인가
김상열 호반그룹 회장과 장남 김대헌 사장 사진출처=연합뉴스 인천 송도의 호반써밋송도오피스텔에서 시작된 전기료 소송이 호반그룹의 책임 구조를 둘러싼 근본적 질문으로 번지고 있다. 입주민들은 “인근 단지보다 두 배 이상 전기료를 내고 있다”며 시공사인 호반건설을 상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