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브라우저의 대명사였던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15일부터 IE 11 브라우저 버전 대부분에 대한 지원을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15일 이후 PC에 설치된 익스플로러는 비활성화된다. 강제로 익스플로러를 실행할 경우 자동으로 마이크로소프트의 다른 웹브라우저인 '에지'로 전환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익스플로러 기반으로 제작한 웹사이트를 오는 2029년까지 지원할 예정이다. 새로운 브라우저인 에지에서 'IE 모드'를 당분간 사용할 수 있도록 연장해 주는 지원방식이다.
1995년 출시된 윈도우95 운영체제에 포함된 패키지 중 하나로 소개된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브라우저'계의 강자로 자리매김을 하다 27년만에 사라지게 된 것이다. 윈도우 운영체제와 함께 설치되던 익스플로러는 당시 시장점유율 1위였던 '넷스케이프'와 다른 브라우저들을 물리치고 2003년에 점유율 95%까지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한때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웹브라우저로 역사에 기록됐다.
1998년 미국 정부는 MS가 인터넷 브라우저 시장에서 경쟁 소프트웨어의 잠재적 위협을 차단하기 위해 PC 운영체제인 ‘윈도’의 점유율을 이용했다고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러나 파이어폭스, 크롬 등 경쟁 브라우저가 부상하고 스마트폰 시대가 도래하면서 익스플로러 사용은 점차 감소했다. 이에 지난 2016년 마이크로소프트는 새로운 웹브라우저 '에지'를 출시하면서 기존 '인터넷 익스플로러(IE)'의 새로운 기능 개발을 중단했다.
MS는 지난 2020년 11월 협업 플랫폼인 '팀즈'(Teams) 지원을 중단했다. 이어 지난해 8월부터는 구독형 오피스 '마이크로소프트365(M365)'의 일부 기능을 쓸 수 없게 하는 등 차츰 인터넷 익스플로러 종료를 준비해왔다.
BEST 뉴스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도심항공교통(UAM) 도입과 드론 물류 확대를 앞두고, 공항·항만·발전소·가스 시설 등 국가 주요 기반시설이 밀집한 인천 지역에서 불법 드론 대응 체계가 시설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종식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 -
[단독] 삼양 ‘1963 라면’, 정통성 복원 외쳤지만… 팜유·우지 혼합 ‘골든블렌드’ 논란
삼양식품이 브랜드 탄생 61주년을 맞아 '정통성 복원'을 내세우며 출시한 신제품 ‘삼양라면 1963’이 출시 직후 예상치 못한 논란에 마주쳤다. 김정수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식품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우지 유탕으로 만든 삼양 1963을 소개하고 있다....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이디야커피가 보이그룹 ‘보이넥스트도어’와 협업해 선보인 콜라보레이션 음료가 출시 직후 높은 관심을 얻고 있다. 이미지=이디야커피 제공 이디야커피는 지난 28일 협업 음료 2종을 출시했다. 일부 매장에서는 개점 직후 음료 구매를 위한 이른 방문이 이어졌고, 음료 구매 시... -
위조 서류로 장관상 받았는데… 문체부, 3년 지나서야 수상 취소
위조 서류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은 ‘젊은 건축가상’ 수상자에 대한 조치가 3년 만에야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수상 취소 사유가 법적으로 명백했음에도 문화체육관광부는 사실상 아무 대응도 하지 않은 채 시간을 끌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연합뉴스 조국...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해양수산부가 예산 3억8천여만원을 들여 개발한 국립등대박물관 전시 안내 앱이 출시 후 사실상 활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금주 의원 사진=의원실 제공 국회 문금주 의원(더불어민주당·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이 해수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 -
‘수유텀·맘마존·애개육아’… 에코붐 세대, 신(新)육아 트렌드 주도
일러스트=픽사베이 출생아 수가 10년 만에 반등하면서 1990년대생 ‘에코붐 세대’가 육아 시장의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루틴(일과)과 공유, 반려문화에 익숙한 이들은 새로운 육아 신조어를 만들며 산업 전반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8월 인구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