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독] 삼양 ‘1963 라면’, 정통성 복원 외쳤지만… 팜유·우지 혼합 ‘골든블렌드’ 논란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5.11.14 01:0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삼양식품이 브랜드 탄생 61주년을 맞아 '정통성 복원'을 내세우며 출시한 신제품 ‘삼양라면 1963’이 출시 직후 예상치 못한 논란에 마주쳤다. 


 

PYH2025110303830001300.jpg
김정수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식품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우지 유탕으로 만든 삼양 1963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품의 핵심 특징으로 강조한 ‘골든블렌드 오일’이 고급 오일처럼 포장됐지만, 실제로는 팜유와 우지(소기름)를 혼합한 유지로 드러나면서 소비자들 사이에서 “감성은 1963인데 성분은 1980년대 그대로”라는 냉소가 빠르게 번지고 있다.


삼양식품은 이번 제품을 “1963년 첫 삼양라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프리미엄 제품”이라고 소개하며, 우골 기반 액상스프와 큼직한 건더기, 그리고 ‘골든블렌드 오일’로 튀긴 면을 통해 깊은 풍미를 구현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제품 성분표가 공개되자 분위기는 정반대로 흘렀다. 소비자들이 주목한 것은 ‘골든블렌드’라는 이름이 아닌 그 뒤에 적힌 구성 성분이었다. 해당 오일은 정제우지·팜유·정제유지를 섞은 전형적인 혼합유이며, 이는 업계에서 오랫동안 원가절감 구조의 핵심으로 지적돼온 조합이다.


이 사실이 알려지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즉각 반발 여론이 확산됐다. “골든블렌드? 결국 팜유+우지인데 왜 고급처럼 부르나”, “정통성 복원이라면서 성분은 과거 논란의 원료 그대로”, “요즘 소비자들은 성분표 먼저 본다. 네이밍으로 속일 수 있는 시대가 아니다”, “우지 파동 기억하는 세대한테 우지라면이라니 감성 복원이 아니라 기억 복원이다” 등 비판 글이 빠르게 공유되고 있다.


특히 20~40대 소비자들은 성분 투명성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1963 감성’ 마케팅이 오히려 원재료 논란과 충돌한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이들은 “프리미엄 전략을 펼치려면 원료부터 바뀌어야 하는데, 유지 구조는 예전 그대로”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실제로 라면 제조 과정에서 유지(油脂)는 원가 구조의 핵심 요소인데, 이번 신제품 역시 팜유 기반 혼합유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가격대는 프리미엄 영역에 맞춰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식품 전문가들은 이번 논란의 핵심을 ‘성분 자체’보다는 ‘표기와 실제 구성의 괴리’로 본다. ‘골든블렌드’라는 명칭은 소비자에게 고급 오일, 천연 압착 또는 버터리한 풍미 등 긍정적 이미지를 연상시키지만 실제 구성은 전형적인 라면용 혼합 유지라는 점이 문제라는 설명이다. 이는 식품표시광고법이 규정하는 ‘소비자 오인 가능성’ 범주에 들어갈 소지도 있으며, 최근 식약처가 라면·과자업계의 혼합유 명칭 관행을 꾸준히 들여다보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삼양이 “정통성”을 내세우며 우지를 활용한 것은 의도와 달리 부정적 기억을 다시 끌어올린 셈이 됐다. 


이와관련 위메이크뉴스의 질의에 대해 삼양식품은 “골든블렌드 오일은 우지와 팜유를 풍미와 산화안정성을 고려해 설계한 ‘황금 비율’ 혼합유라는 의미이며, 출시 쇼케이스와 보도자료에서도 이를 설명해 소비자 오인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또한 “HACCP 인증 시설에서 정제된 식용 우지만 사용하고, 팜유 역시 국내외 기준에 따라 정기 검사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명칭·표기 변경에 대해서는 “현행 기준에 따라 적법하게 표기하고 있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그러나 시장의 시선은 다르게 흐르고 있다. 정통성을 강조한 스토리와, 실제 성분 구조 간의 간극, 가격 대비 원료 구성에 대한 의문, 포장된 명칭과 소비자가 확인한 내용의 불일치, 그리고 우지에 대한 오래된 집단 기억까지 겹치며


이번 논란은 단순 성분 논쟁을 넘어 ‘신뢰의 문제”로 확장되고 있다.


삼양라면 1963은 삼양식품이 오랜 역사와 브랜드 가치를 되살리기 위해 심혈을 기울여 만든 제품이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더 이상 화려한 스토리나 감성 마케팅만으로 구매 결정을 내리지 않는다. 성분, 표기, 투명성, 원료 구조, 기업의 진정성 등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기준을 우선시한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잠실 한강버스, 얕은 수심 걸려 좌초…80여 명 구조
  • 지스타 처녀 출전 넥써쓰 이름값 톡톡
  • 박수현 의원, '공연 암표 근절법' 대표발의
  • 따뜻한동행, 필리핀 6·25 참전용사 주거 지원
  • 게임으로 웃는 우리들만의 시간
  • ‘우리형닷컴 Qi2.2 3in1 스탠드 무선충전기’ 출시
  • ‘논산 백성현 상승 vs 서산 이완섭 하락’… 충청권 지자체장 순위
  • [이상헌의 성공창업 경제학] 민생회복지원금 후광효과 지속하려면…
  • 넷마블·콩스튜디오 맞손
  • ‘복지 사각지대’ 가족돌봄아동에 손 건넨다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단독] 삼양 ‘1963 라면’, 정통성 복원 외쳤지만… 팜유·우지 혼합 ‘골든블렌드’ 논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