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분기 중흥(중흥토건·중흥건설)이 비수도권 거점 건설사 중 온라인에서 가장 높은 소비자 및 투자자 관심도(정보량=포스팅 수)를 보였다. 이어 제일건설, 계룡건설산업으로 조사됐다.

3일 여론조사기관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X(옛 트위터)·인스타그램·유튜브·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단체·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3만 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2024년 1월부터 3월까지 비수도권 거점 건설사 10곳의 관심도(정보량=포스팅 수)를 빅데이터 분석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1분기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지난 2023년 국토교통부 시공능력평가 100위에 오른 건설사 중 10곳을 임의 선정했다.
정보량 순으로 ▲중흥(본사 광주) ▲제일건설(본사 광주) ▲계룡건설(본사 대전, 013580) ▲화성산업(본사 대구, 002460) ▲동원개발(본사 부산, 013120) ▲대광건영(본사 광주) ▲서한(본사 대구, 011370) ▲라인건설(본사 전남 담양) ▲금성백조건설(본사 대전) ▲요진건설산업(본사 강원 원주) 등이다.
중흥의 경우, 중흥토건과 중흥건설을 병행 조사했다. 조사 내용과 관련 없는 도배성 부동산 키워드는 제외어로 설정했다.
분석 결과, 올 1분기 중흥은 1만 2,224건의 정보량으로 조사 업체 중 관심도 1위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정보량 5,463건 대비 6,761건, 123.76% 급증했다.
2월 네이버 대형 부동산 카페의 한 유저는 “(인천) 검단 중흥S클래스 에듀파크 용적률이 어떻게 되는 지 아시는 분 계실까요?”라는 질문을 게시판에 업로드했다. 이에 “용적률 225%, 건폐율 13%로 알고 있다”며 “좋은 편”이라는 답글이 달렸다.
1월 모네타 등에는 중흥그룹이 당시 설 명절을 앞두고 중흥건설 및 중흥토건 협력사들의 원활한 자금 운용을 돕고자 공사대금 약 1,300억 원을 전액 현금으로 조기 지급했다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같은 기간 제일건설 언급 게시물 수는 8,424건으로 나타나면서 2위를 차지했다. 직전 연도 같은 기간 3,104건과 비교하면 5,320건, 171.39%나 크게 늘었다.
3월 38커뮤니케이션 등에는 제일건설이 GS건설이 함께 짓는 ‘송도자이풍경채 그라노블’의 1순위 청약 소식이 전달됐다. 기사에는 해당 아파트가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약 2년 만에 공급되는 대단지”라며 “견본주택에는 나흘 동안 2만여 명이 방문했다”는 내용이 소개됐다. 이와 함께 청약 조건 및 단지에 대한 설명이 부연됐다.
같은 달 마이민트에는 당시 국토교통부가 ‘3기 신도시’ 인천 계양 테크노밸리 공공주택지구에서 공사 시작을 발표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특히 2026년 12월 입주를 목표로 1,285가구를 짓는 A2·A3 블록의 시공을 제일건설이 맡았다는 내용이 확인됐다.
계룡건설은 3개월간 7,292건의 포스팅 수로 3위에 자리했다. 제일건설과의 포스팅 수 격차는 1,132건으로 집계됐다. 다만 전년 동기 포스팅 수 1만 623건과 비교 시 3,331건, 31.36%나 줄었다.
3월 뽐뿌 등에는 한승구 계룡건설 회장이 제29대 대한건설협회 회장으로 취임했다는 기사가 공유됐다.
기사에는 취임 공약과 더불어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제2의 건설산업 부흥을 이끌겠다”는 한승구 회장의 강한 의지가 포함됐다. 한 회장은 오는 2028년 2월 말까지 건설협회를 이끄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채널에는 계룡건설을 비롯해 삼진정밀, 씨엔씨티에너지, 선양소주 등 충청지역 경제단체가 오는 7월 설립되는 대전시 출자기관이자 공공투자 기관 ‘대전투자금융’에 투자 의향을 밝혔다는 대전시의 설명이 전해졌다. 대전투자금융은 대전지역 벤처 생태계 조성과 창업·기업 혁신 성장을 지원할 공공투자기관으로 알려졌다.
4위는 5,606건의 포스팅 수가 집계된 화성산업이 차지했다. 직전 연도 3,470건 대비 2,136건, 61.56% 증가 추이를 보였다.
1분기 동원개발은 2,831건의 정보량을 기록하며 5위에 랭크됐다. 직전 연도 정보량 2,827건과 비교하면 4건, 0.14% 늘었다.
이어 게시물 수 순으로 대광건영(2,575건), 서한(2,510건), 라인건설(2,384건)이 각각 6~8위를 지켰다.
특히 대광건영은 전년 동기 게시물 수 660건과 비교하면 1,915건, 290.15% 폭증하며 조사 업체 중 ‘관심도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금성백조는 1~3월 2,221건의 정보량으로 9위에 자리했다. 직전 연도 동기 정보량 4,079건 대비 1,858건, 45.55% 줄었다.
요진건설은 같은 기간 1,246건의 포스팅 수를 기록했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1분기 비수도권 거점 건설사 총 정보량은 4만 7,313건으로 전년 동기 3만 4,573건 대비 36.85% 늘었다”며 “어려운 대내외 환경에도 지역 건설업체들에 대한 소비자 관심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전했다.
BEST 뉴스
-
[단독] "LG전자, 직원 10명 중 4명 잘린다…초대형 희망퇴직"
LG전자가 대규모 감원에 돌입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LG전자 직원만 가입할 수 있는 폐쇄형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최근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담아 "기사화를 부탁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 글의 작성자는 LG전자 소속을 인증한 LG전자 직원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신빙성 있는 자료로 분석된다. ...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박주민 “오세훈, 비(非)강남 버렸다”…경전철 공약 ‘빈 껍데기’ 전락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연합뉴스 서울시가 추진해 온 강북·동북권 경전철 사업이 잇따라 좌초하면서 오세훈 시장의 균형발전 공약이 사실상 공염불에 그쳤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과 ‘새로운서울준비특별위원회’(위원장 박주민)는 21일 열린 ‘오세훈 시정 3... -
인천공항 제4활주로서 화물차 사고 사망…공항 안전관리 또 도마 위에
26일 오전 6시쯤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인근에서 50대 남성 A씨가 몰던 1t 화물차가 공항 외곽 울타리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천국제공항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연합뉴스] 사고 충격으로 크게 다친 A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 -
DL건설, 추락사고에 ‘초강수’…대표부터 현장소장까지 80여명 일괄 사표
공사장 사고 일러스트-연합뉴스 경기도 의정부 아파트 신축 현장에서 50대 근로자가 추락해 숨진 사고가 발생하자, DL건설이 사실상 ‘전사 해체’에 가까운 초강수 조치를 내렸다. 대표이사부터 최고안전책임자(CSO), 임원진, 팀장, 현장소장까지 80여명이 줄줄이 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