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조은희 “야구장 안전사고 5년간 1870건… 정밀안전진단 안 한 구단 5곳”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8.28 10:1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파울볼·낙상·구조물 사고 매년 급증… “구단·KBO·정부 모두 대책 세워야”

AKR20250813105500052_01_i_org.jpg
창원NC파크 사진=연합뉴스

 

최근 5년간 국내 프로야구장에서 하루 평균 1건 이상의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 보강 조치가 뒤따르는 정밀안전진단을 받은 구단은 전체 10개 구단 중 절반에 불과했다.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서울 서초갑·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 한국야구위원회(KBO)로부터 제출받은 ‘야구장 안전사고 현황’에 따르면, 2021년 203건이던 안전사고는 2022년 351건, 2023년 434건, 2024년 558건으로 매년 증가했다. 올해도 1~7월에만 324건이 발생해 연말이면 600건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사고 유형별로는 파울볼·홈런볼 사고가 가장 많았다. 삼성 라이온즈가 806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한화 이글스(289건), KIA 타이거즈(194건) 순이었다. 구조물 사고는 SSG 랜더스(15건), 한화 이글스(11건), KT 위즈(8건)에서 주로 발생했다. 낙상 사고는 한화 이글스(27건)가 가장 많았으며 두산 베어스·LG 트윈스(17건), SSG 랜더스(14건)가 뒤를 이었다.


「시설물안전법」에 따르면 구장 관리자는 정기안전점검, 정밀안전점검, 정밀안전진단을 수행해야 한다. 이 중 보수·보강 조치가 뒤따르는 정밀안전진단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 10년간 이 진단을 한 번도 받지 않은 구단이 절반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NC 다이노스(관중 사망 사고 발생), 한화 이글스(간판 낙하 사고), KT 위즈, 삼성 라이온즈, 키움 히어로즈 등이 포함된다. 이들 구단은 “개장일로부터 진단 의무 주기가 도래하지 않았다”거나 “법적 의무 대상이 아니다”라는 이유를 댔다.


보완적 성격의 정기안전점검은 6개월마다 진행되지만, 모든 구단이 자체 점검에만 의존해 사실상 형식에 그치고 있다. 보고서 또한 법적 평가 대상에서 제외된다.


2~4년에 한 번 이뤄지는 정밀안전점검 역시 문제가 드러났다. 키움 히어로즈와 올해 새 구장을 개장한 한화 이글스를 제외한 7개 구단이 법정 기준의 70%에도 못 미치는 저가 계약으로 점검을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 의원은 “안일한 시설 관리가 프로야구 ‘천만 관중 시대’의 인기와 명성을 갉아먹고 있다”며 “문화체육관광부와 국토교통부, KBO와 각 구단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거북섬 아파트 공사장 사망… 하청 현장소장 입건, 원청 대우건설로 수사 확대?
  • 농수산식품유통공사, ‘금배추’ 대란 자초
  • 의사소통 장애인 도우미 교육 올해도 개시
  • K-푸드 인기 속 ‘즉석밥 대박’…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미국산 쌀
  • ‘해 짧아지니 카페인도 줄인다’…가을 저녁, 디카페인 커피 뜬다
  • 뇌사 장기기증, 5년 만에 최저… 이식 기다림은 길어졌다
  • 휴게소 음식 22건 위반… 도로공사 ‘위생관리 구멍’
  • AI, 석굴암·첨성대 왜곡… “국가 차원 바로잡아야”
  • 깜깜이 ESS 웃돈, 200조 빚더미 한전에 폭탄 추가되는 꼴
  • 해외직구 물품서 방사성 물질 검출… “생활 속 노출 우려”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조은희 “야구장 안전사고 5년간 1870건… 정밀안전진단 안 한 구단 5곳”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