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깜깜이 ESS 웃돈, 200조 빚더미 한전에 폭탄 추가되는 꼴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10.16 16:40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올해 대규모 ESS 중앙계약시장 추산 총사업비 추산 3조원
  • ESS에 따른 추가비용은 ‘비공개’, 한전 200조 빚더미에 추가 폭탄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발생하는 ESS(에너지저장시스템) 비용 부담이 200조 빚더미 한국전력공사에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질의사진2.jpg
구자근 국회의원(국민의힘, 경북 구미시갑) 사진=구자근 의원실 제공

 

구자근 국회의원(국민의힘, 경북 구미시갑)이 산업통상부와 한국전력거래소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5월 1차로 563MW, 총사업비 추산 1.5조원 규모의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을 진행했고, 최근 2차 540MW 입찰 진행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1‧2차 도합 총사업비는 3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는 정부의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29년까지 2.22GW, 2038년까지 23GW 규모의 ESS를 전국에 공급하기 위함인데,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정부‧여당이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공언하고 있어 훨씬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해 구자근 의원은 “정부가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을 포함한 사회적 재원 부담의 문제를 제대로 알리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전력시장운영규칙>에 따르면, ESS 설치 및 운용에 드는 비용부담은 ‘ESS 중앙계약시장 전력거래계약서’에 따라, 전력시장의 구매자(한전)가 지도록 되어있다.


문제는 해당 비용이 얼마인지 아무도 모른다는 것이다. 산업통상부와 한국전력거래소는 ‘1차 ESS 중앙계약시장 낙찰가 평균과 정산 예상금액’에 대해 “가격정보는 우선협상자 영업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낙찰 사업자의 영업 비밀 누출 우려 등이 있다”며 공개를 거부했다.


ESS에 따른 전력구입비 부담 증가분을 전기요금에 현실화하지 못할 경우, 한전의 배임 소지도 지적된다. 한전의 지분은 정부 18.2%, 산업은행 32.9%, 국민연금 7.51%, 외국인 15.18%, 기타 26.21%인 상황이다.


재생에너지 확대를 주장하고 있는 이재명정부와 여당은 향후 재생에너지 균등화발전단가(LCOE)가 낮아질 것이라 주장하고 있다. 구자근 의원실이 산업통상부로부터 제출받은 <전원별 균등화발전단가(LCOE) 추산 비용>에 따르면, 태양광은 2022년 kWh 당 102~132원에서 2036년 54.8~99.1원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주민토지보상, 백업 전원, ESS 비용은 포함되지 않은 것이다. 


구 의원은 “당장 국민들의 전기요금에 드러나지는 않고 있으나, 한전이 조용히 그 폭탄을 안게 되는 것이다”라며 “이미 문재인정부의 무리한 탈원전 정책과 전기요금 현실화 외면으로 200조 빚더미에 놓인 상황인데, 무책임하기 짝이 없다”고 지적했다. 한전 총부채는 2017년 108.8조원에서 2022년 192.8조원으로 폭증했고, 작년 205.4조원인 상황이다.


재생에너지의 무리한 확대 대신 대안으로 SMR(소형모듈원자로)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구자근 의원이 국회도서관을 통해 확보한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nformation Technology and Innovation Foundation)의 정책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전력생산 운영안정성을 의미하는 ‘에너지원별 용량 계수’에서 원자력은 93%로 가장 높고, 태양광은 25%, 풍력은 34%로 가장 낮았다.


구 의원은 “SMR은 운영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에너지원으로 온실가스 저감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실현할 수 있는 유력한 에너지원이다”며 “치솟는 전기료에 부랴부랴 재생에너지 확대 속도조절을 하고 있는 독일 등의 사례를 참고해 균형 잡힌 에너지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뇌사 장기기증, 5년 만에 최저… 이식 기다림은 길어졌다
  • 휴게소 음식 22건 위반… 도로공사 ‘위생관리 구멍’
  • AI, 석굴암·첨성대 왜곡… “국가 차원 바로잡아야”
  • 깜깜이 ESS 웃돈, 200조 빚더미 한전에 폭탄 추가되는 꼴
  • 해외직구 물품서 방사성 물질 검출… “생활 속 노출 우려”
  • 제주산 말차와 '잠바'의 만남… 시즌 한정 음료 4종 출시
  • ‘부모 찬스 송금’ 3년간 16조원… 증여세 피한 꼼수 의심
  • 바쁜 직장인 위한 ‘3분 커피’… 스타벅스 NOW 브루잉 확대
  • 의사 1명이 ‘91년치 마약류’ 처방… 식약처 “언제부터인지 몰라”
  • 국보도 보험 없다… 목조유산 10곳 중 6곳 ‘무방비’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깜깜이 ESS 웃돈, 200조 빚더미 한전에 폭탄 추가되는 꼴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