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르포] 말라버린 강릉 "단수만 피하자"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9.07 11:38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https://blog.naver.com/wemakenews/223997697831

6일 오후, 서울 양양고속도로에서 인제까지는 굵은 빗방울이 차창을 때렸다. 그러나 백두대간을 통과해 터널을 빠져나오자 풍경은 돌연 달라졌다. 구름만 잔뜩 끼었을 뿐, 빗방울은 흔적만 남기고 사라졌다. 하늘은 가뭄으로 재난 사태가 선포된 강릉엔 그마저도 허락하지 않았다.


 

KakaoTalk_20250906_170252928.jpg
강릉 연곡천에 급수차량들이 줄지어 이동하고 있다. 사진=위메이크뉴스 DB

 

바다가 보이는 옥계휴게소의 한 커피숍 벽엔 이런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설거지할 물이 없어 매장에서도 머그잔 대신 테이크아웃 잔으로 음료를 제공합니다.”


강릉 연곡천. 전국에서 모여든 급수차들이 줄지어 섰다. 호스를 드리운 트럭마다 물을 퍼 올려 강릉 전역으로 공급한다. 평소라면 조용한 하천변은 이제 ‘생명수 집결지’가 됐다.

 

재난 선포 일주일. 강릉은 전국의 지원으로 간신히 버티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갈은 요원하다. 오봉저수지 수위가 계속 떨어지는 한, 제한 급수와 단수는 시간문제다.


육·해·공군이 동원돼 지원이 이어지고 있지만, 땅은 갈라지고 저수지는 메말라간다.


강릉 시민들의 주 수원인 오봉저수지 저수율은 오후 3시 30분 기준 12.8%. 하루 전보다 0.4%포인트 더 빠졌다. 평년 평균의 5분의 1에도 못 미친다. 바닥은 군데군데 쩍쩍 갈라졌고, 메마른 경사면에는 소방 호스 자국과 살수 흔적만이 남아 있었다.


저수율이 10% 아래로 내려가면, 단계적 제한 급수가 불가피하다.


1단계는 밤 10시부터 새벽 5시까지의 시간제 제한, 2단계는 격일제다. 단수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이미 발 앞에 다가와 있었다.

 

욕조에 물을 가득 받아둡니다”


시는 이날 오전부터 저수조 100톤 이상을 보유한 아파트·숙박시설 124곳을 대상으로 제한 급수를 시작했다. 하지만 일부 아파트에서는 “단수를 실시한다”는 안내 방송이 나와 주민들을 혼란스럽게 했다. 실제로 잠시 물이 끊긴 곳도 있었다.


불안은 이미 주민 일상 깊숙이 파고들었다. 어떤 집은 욕조와 대야에 물을 가득 받아두었다. 그러나 이런 ‘사재기식 저장’이 오히려 수요를 더 늘려 단수를 앞당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식당에서 만난 주민은 “아침에 눈을 뜨면 가장 먼저 수돗물이 나오는지 확인한다”며 “물 걱정을 이렇게까지 하게 될 줄 몰랐다”고 했다. 또 다른 주민은 “물 한 방울이 이렇게 귀한 줄 알았다면 예전엔 절대 낭비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씁쓸히 웃었다.


강릉은 지금 ‘물과의 전쟁’ 한복판에 서 있다. 긴장은 풀리지 않고, 하늘만 바라보는 시민들의 불안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기아, 라파엘 나달과 21년 동행… 글로벌 파트너십 연장
  • 감성과 기술의 융합, 감정의 파동을 깨우는 앱 ‘컬러힐링알람’ 출시
  • 김병곤 박사 “저속노화, 결국 운동이 전부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 시속 300km 질주 중 ‘쾅’… 자갈 튀어 고속열차 유리창 663건 파손
  • ‘K-컬처 300조’ 외치지만… 박물관엔 ‘빈 지갑’뿐
  • 발달장애 청년 돕는 착한 팝업 성수에 열린다
  • 경주서 ‘APEC 정상회의’ 맞이 특별전… 한국 미술의 전통과 현대 한자리에
  • 국립박물관 13곳 중 장애인 관람 전면 지원은 단 3곳
  • 정신질병 산재 사망 승인률 5년 새 절반으로 감소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르포] 말라버린 강릉 "단수만 피하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