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조업 517건 최다…위반 유형 ‘하청생산·완제품 납품’ 602건

더불어민주당 오세희 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전국소상공인위원장)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5~2025.6) 중소기업 직접생산확인 취소 건수가 1101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는 6월 말 기준 616건으로, 이미 지난해(609건) 전체를 넘어섰다.
직접생산확인제도는 공공기관이 중소기업자 간 경쟁제품을 구매할 때 반드시 해당 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기업과 계약을 체결하도록 한 장치다. 직접생산확인 기업 수는 2017년 2만6391개에서 2024년 4만1300개로 크게 늘었다. 경쟁제품 시장 규모도 같은 기간 20조6000억 원에서 29조3000억 원으로 8조7000억 원 증가했다.
그러나 직접생산확인 취소 사례도 꾸준히 늘고 있다. 최근 10년간 취소 건수를 연도별로 보면 △2015년 70건 △2016년 355건 △2017년 181건 △2018년 124건 △2019년 85건 △2020년 43건 △2021년 31건 △2022년 28건 △2023년 105건 △2024년 63건 △2025년 6월 현재 616건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517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건설업 121건 △도매·소매업 20건 △수도·하수 및 폐기물 처리·원료재생업 4건 △정보통신업 3건 △부동산업 3건 순이었다.
위반 유형별로는 △하청생산·타사 상표 부착 등 직접 생산을 하지 않고 납품한 경우가 602건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생산설비 임대·매각 등 기준 미달(38건) △거짓·부정증명서 발급(22건) △조사 거부(12건) △대표자 변경·공장 이전 등(2건) 순이었다.
관련 법에 따르면 위반 시 일정 기간 해당 제품에 대해 신청 제한, 과징금 부과, 전체 제품군 취소 등의 제재가 뒤따른다.
오세희 의원은 “중소기업 직접생산확인 제도는 공공조달 입찰시장의 공정성을 지키기 위한 핵심 장치지만, 위반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특히 위반 제품 하나로 기업 전체 제품군의 확인이 취소되는 경우가 있어 제재가 과도하다는 지적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소기업의 직접 제조 능력 확인은 강화하되,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BEST 뉴스
-
[단독] "LG전자, 직원 10명 중 4명 잘린다…초대형 희망퇴직"
LG전자가 대규모 감원에 돌입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LG전자 직원만 가입할 수 있는 폐쇄형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최근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담아 "기사화를 부탁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 글의 작성자는 LG전자 소속을 인증한 LG전자 직원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신빙성 있는 자료로 분석된다. ...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박주민 “오세훈, 비(非)강남 버렸다”…경전철 공약 ‘빈 껍데기’ 전락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연합뉴스 서울시가 추진해 온 강북·동북권 경전철 사업이 잇따라 좌초하면서 오세훈 시장의 균형발전 공약이 사실상 공염불에 그쳤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과 ‘새로운서울준비특별위원회’(위원장 박주민)는 21일 열린 ‘오세훈 시정 3... -
인천공항 제4활주로서 화물차 사고 사망…공항 안전관리 또 도마 위에
26일 오전 6시쯤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인근에서 50대 남성 A씨가 몰던 1t 화물차가 공항 외곽 울타리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천국제공항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연합뉴스] 사고 충격으로 크게 다친 A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