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기혼자 ‘결혼반지’ “86.8% 사거나 맞췄다” 평균 비용 ‘356만 원’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10.01 09:35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1위 금은방 2위 브랜드 제품 선택
  • 구매 NO 13.2% “반지에 의미 크게 안 둬, 신혼집 등 보태”
  • 가연 “반지 상징성 여전히↑ 각자 방식대로 재해석도 눈길”

251001 가연, 기혼자 ‘결혼반지’ 조사 발표 ‘평균 356만 원’.jpg
<자료 : 가연결혼정보㈜>

 

결혼반지는 오랫동안 부부가 되었음을 의미하는 대표적인 예물이었다. 하지만 최근 젊은 세대의 새로운 흐름도 눈길을 끈다.


결혼정보회사 가연은 최근 진행한 ‘2025 하반기 결혼 인식 조사’에서 ‘결혼반지’에 대해 기혼자 500명(2539남녀 각 250명)의 다양한 의견을 들었다.


기혼자 중 86.8%가 결혼반지를 구매했다고 했으며, 방법은 ‘금은방에서 구입하거나 제작했다(45.6%)’고 한 답변이 가장 많았다. 다음은 ‘브랜드 제품을 구입하거나 제작했다(41.2%)’가 근소하게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연인 시절의 커플링으로 대체했다(8%)’, ‘아예 생략했다(4.6%)’, ‘부모님, 집안으로부터 물려 받았다(0.6%)’ 순이었다.


구매하지 않았다는 응답자들은 ‘결혼반지에 그렇게 큰 의미를 두지 않아서(41.3%)’라는 이유를 1위로 꼽았다. 이어 ‘반지에 드는 비용을 신혼집 등 다른 곳에 쓰기 위해(23.8%)’나 ‘결혼 준비 과정에서 다른 곳에 신경 쓸 게 많아서(15.9%)’ 등 집 마련이나 기타 결혼 비용에 보탰다는 답변들이 있었다. ‘꼭 결혼 당시가 아니라도 추후에 구입하기 위해 미룸(14.3%)’, ‘기타(4.8%)’가 뒤를 이었다.


그 중 ‘큰 의미를 두지 않았다’는 답이 시선을 끌었다. 여성의 답변은 30.8%였으나 남성은 48.6%였고, 20대의 답변은 20%였으나 30대는 55.3%였다. ‘성별은 남성, 연령은 30대’가 결혼을 더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고 준비하는 경향이 높을 수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반지 대신 다른 비용에 활용했다는 39.7%의 답변은 결혼을 간소화하거나 실용적으로 진행하는 요즘의 추세와도 맞물린다.


그렇다면 평균적으로 웨딩반지에 든 비용은 얼마일까. 구매(한 쌍 기준)에 든 비용은 평균 356만 6400원으로 집계됐다. 남녀 응답에 큰 차이는 없었고, 평균적으로 반지에 적지 않은 지출을 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가연 조인상 커플매니저는 “기혼자의 86.8%가 반지를 구매했고, 비용도 평균 356만 원대인 것을 보면, 여전히 웨딩반지의 의미가 크다는 걸 알 수 있다”라며 “예산부터 선호하는 제품 등 서로 논의해서 준비하면 좋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 “반지의 상징성은 높지만, 각자의 상황과 가치관에 맞게 의미를 재해석하는 흐름도 눈 여겨 볼 부분이다”라고 덧붙였다.


해당 조사는 6월 18~25일, 오픈서베이를 통해 진행했고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4.38%P였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한국지역난방공사,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 최고등급 ‘AA’
  • 현대제철, 한전과 손잡고 ‘신규 송전철탑 원자재’ 공급…
  • 한난 'AI×무탄소로 미래 40년 그린다'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 개최
  • 한미글로벌, ‘스마트 인프라 건설’ 테크 포럼 12월 2일 코엑스서 개최
  • 티앤씨재단 공감도서 ‘노시니어존’, 2025 세종도서 교양부문에 선정
  • 노동진 수협 회장, 농수협 협력 강화… 농어촌 정책 공조 ‘시동’
  • 매일유업 “식품안전문화가 신뢰 좌우… 혁신 활동 이어갈 것”
  • “지역사회에 온기 전한다”…서울우유, 취약계층에 우유 7,800개 기부
  • 건설사업관리 제도 손본다…국회서 산·학·관 머리 맞댄다
  • 신한카드 ‘Haru’, 일본에서의 ‘특별한 하루’ 선사… 호시노야 숙박권 이벤트 진행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기혼자 ‘결혼반지’ “86.8% 사거나 맞췄다” 평균 비용 ‘356만 원’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