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추석 연휴에도 수소차 운전자들은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충전 불편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전국 휴게소 211곳 가운데 수소충전소가 있는 곳은 37곳(17.5%)에 불과해 5곳 중 1곳도 채 되지 않는다. 전기차와 비교한 인프라 격차도 여전하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복기왕 의원(충남 아산갑)이 한국도로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8월 기준 고속도로 휴게소 내 수소차 충전기는 총 51기(37곳)였다. 같은 기간 전기차 충전기(1,590기)의 3.2% 수준에 불과하다.
도로공사는 ‘150㎞ 이내 구간마다 1개 이상 수소충전소 설치’를 목표로 내세웠지만 현실은 계획에 한참 못 미친다. 전기차 충전기는 2024년 1,424기에서 올해 1,590기로 늘었지만, 수소충전기는 49기에서 51기에 그쳤다. 확충 속도 자체가 사실상 제자리걸음인 셈이다.
윤석열 정부 들어 수소충전소 예산도 줄었다. 실제 편성액은 ▲2023년 45억 원 ▲2024년 45억 원에서 ▲2025년 31억5000만 원으로 축소됐다. 수소차 보급 확대를 강조하면서도 정작 핵심 인프라 예산은 뒷걸음질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고속도로 수소충전소 확충 지연 문제가 도마에 올랐지만, 도로공사는 △지자체 인허가 지연 △지장물 이전 △주민 반대 등을 이유로 “불가피하다”는 해명을 반복했다. 대책 역시 “유관기관 협의”와 “2025년 준공 예정 6개소 15기 공정관리” 수준에 그쳐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복기왕 의원은 “수소차 충전 인프라 확충은 한 발짝도 못 나아가고 있다”며 “충전 불편을 반복시키는 변명 대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매년 명절마다 충전소 부족으로 불편을 감당하는 것은 결국 국민”이라며 “예산 축소를 합리화할 것이 아니라 이용자 편의를 높일 근본적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BEST 뉴스
-
신길5동 지주택, 500억 횡령 의혹…조합원들 “10년 기다렸는데 빚더미”
서울 영등포구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조합장 장세웅)에 또다시 충격적인 의혹이 제기됐다. 신길5동 지역주택조합 시위 현장 사진출처=지역주택조합 SNS 25일 JTBC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가 파견한 공공 변호사와 회계사 실태조사에서 최소 500억 원 규모의 자금 유용 정황...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티웨이보단 나을줄 알았다…분노의 대한항공 결항기”
지난해 티웨이항공이 이른바 ‘항공기 바꿔치기’가 항공업계의 역대급 결항 사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당시 사건을 뺨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심지어 LCC가 아니라 FSC인 대한항공이라는 점에서 승객들의 비판이 커지고 있다. 대한항공 사진=연합뉴스 항공업계에 따르면, 지난... -
[단독] 삼성 갤럭시폰, 이미지 파일로 원격 해킹 가능?
반고흐 미술관의 오디오 가이드 기기로 사용되는 갤럭시 S25+를 사용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갤럭시폰에서 제로데이 보안 취약점(CVE-2025-21043)이 확인됐다. 제로데이 공격은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 -
“유기견 보호소를 ‘실험동물 창고’로…휴벳 사태 전모
전북 익산에 본사를 둔 동물용 의약품 개발사 휴벳과 이 회사가 운영·연계한 동물병원 및 보호소들이 연달아 동물 학대·관리 부실 의혹에 휩싸이고 있다. 정읍 보호소 유기견 안락사 후 카데바(해부 실습용 사체) 사용, 군산 보호센터의 실험 비글 위탁 관리, 돼지 사체 급여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 한 기업과 그와 ... -
ITX 열차 10대 중 7대 ‘미납’… 고의 지연 업체, 입찰 제한 추진
노후 무궁화호 대체를 위해 도입 중인 ITX-마음 열차가 계약 물량의 3분의 2 이상 납품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계약을 따낸 업체의 반복적인 지연에도 실질적인 제재 수단이 없어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 북구갑)이 한국철도공사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