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 “AI, 차기 팬데믹 유력”… 정부 대응은 ‘허술’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5.10.03 19:49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조류 인플루엔자(AI)가 차기 팬데믹의 유력한 후보로 지목되는 가운데, 최근 국내에서도 고병원성 AI 검출이 잇따르고 있지만 정부의 대응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PCM20180928000139990.jpg
사진=연합뉴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종태 더불어민주당 의원(대전 서구갑)이 질병관리청과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내에서 확인된 고병원성 AI 사례는 100건을 넘었다. 고양이 등 일부 포유류에서도 바이러스가 검출돼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허가된 AI 백신은 2005년 GC녹십자가 개발한 ‘지씨플루에이치파이브엔원멀티주’가 유일하다. 하지만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확산 중인 ‘clade 2.3.4b’ 계통의 H5N1·H5N8 바이러스에는 면역 반응이 극히 낮아 사실상 예방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개발 중인 국산 신형 백신은 비임상 단계에 머물러 있어 상용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AI를 가장 유력한 ‘제2의 팬데믹’ 후보로 꼽는다. AI 바이러스는 조류뿐 아니라 사람에게도 전염될 수 있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변이 속도와 전파력이 빠른 탓이다. 세계적으로도 가금류 집단 감염이 확산 중이다.


국민 불안도 높다. 질병관리청과 한국리서치가 올해 상반기 실시한 조사에서, “국내에서 신종 감염병이 다시 유행할 것 같다”는 질문에 국민 10명 중 7명(72.4%)이 “그렇다”고 답했다. 코로나19 이후 감염병에 대한 위기감이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장종태 의원은 “국내에서는 아직 사람 감염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지만, 해외에서는 포유류 감염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며 “정부는 안이한 태도를 버리고 조기 백신 확보와 대비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노동진 수협 회장, 농수협 협력 강화… 농어촌 정책 공조 ‘시동’
  • 매일유업 “식품안전문화가 신뢰 좌우… 혁신 활동 이어갈 것”
  • “지역사회에 온기 전한다”…서울우유, 취약계층에 우유 7,800개 기부
  • 건설사업관리 제도 손본다…국회서 산·학·관 머리 맞댄다
  • 신한카드 ‘Haru’, 일본에서의 ‘특별한 하루’ 선사… 호시노야 숙박권 이벤트 진행
  • 잠실 한강버스, 얕은 수심 걸려 좌초…80여 명 구조
  • 지스타 처녀 출전 넥써쓰 이름값 톡톡
  • 박수현 의원, '공연 암표 근절법' 대표발의
  • 따뜻한동행, 필리핀 6·25 참전용사 주거 지원
  • 게임으로 웃는 우리들만의 시간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전문가들 “AI, 차기 팬데믹 유력”… 정부 대응은 ‘허술’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