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독] 국감 시즌, 갈려나가는 국회 보좌진들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10.14 10:4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국회 보좌진의 과로가 이들의 건강을 해치고 있다. 국정감사(국감) 시즌에 유독 업무가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58a07e4de59aa_O.jpg
사진=연합뉴스 / OGQ

 

14일 국회 관계자에 따르면, 전날 국민의힘 소속 보좌진이 쓰러져 앰뷸런스에 실려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당시 그는 피로 누적으로 국회 본관 사무실에서 업무 중 정신을 잃은 것으로 전해졌다. 갑자기 정신을 잃는 바람에 대리석이 깔린 국회 본관 바닥에 얼굴을 부딪쳐 상당히 많은 피를 흘렸다.


문제는 이번 사고와 유사한 사건이 국회에서 자주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매년 국정감사 시즌이 되면 보좌진들은 수면 부족과 과로에 시달린다. 여야를 막론하고 의원실의 일정 조율, 자료 준비, 답변서 작성, 언론 대응 등 각종 업무가 몰리면서 사실상 ‘24시간 근무’가 일상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부 보좌진은 “출근과 퇴근의 개념이 없어, 감사 기간에는 주 100시간 근무도 흔한 일”이라며 “보좌진은 정치권의 보이지 않는 노동자”라고 토로했다.


국회 보좌진의 구조적 과로가 개인의 건강 문제를 넘어, 입법과 정책의 질적 저하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피로에 짓눌린 채 생산되는 국정감사 보고서나 정책 자료는 정밀한 검증이 어렵고, 결국 국민이 체감하는 정치의 품질이 낮아진다는 것이다. 


이 같은 사고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라는 점에서 전문가들은 국회가 ‘보좌진의 노동권’을 단순한 복지 차원이 아니라, ‘입법 시스템의 신뢰성 확보’라는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지적한다.


국회 보좌진의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초과근무 수당의 현실화, 인력 충원, 탄력근무제 확대, 정신건강 지원 프로그램 도입 등이 대안이다. 다만 아직까지 관련 논의는 선언적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 구체적인 논의가 되지는 않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노동법 분야 전문가는 “정치권에서 정책 노동을 담당하는 이들의 안전망이 구축되지 않는 한, 국정감사 시즌마다 반복되는 과로 사고의 악순환을 끊기 어렵다”며 “더 이상 국회 보좌진이 쓰러지는 사태가 없도록 보다 근본적인 해법을 논의할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유럽 대형마트서 ‘중국 김치’ 표기 논란 지속
  • 오리온, 집에서 즐기는 ‘디저트 카페’ 한정판 5종 출시
  • K-콘텐츠 경제효과 1조인데… OTT 전담 인력 과기부는 ‘2명’뿐
  • 직업군인 자가보유율 42%… 황희 의원 “군 사기 진작 위한 특단 대책 필요”
  • 킴스클럽, ‘990원 스낵존’ 돌풍…한 달 만에 10만개 판매 돌파
  • “KT, 해킹 한 달 지나도 조치 없어”
  • 골프장 캐디, 성희롱·성추행에 노출… 안전사고도 잇따라
  • 도로 위 시한폭탄, 싱크홀…올해만 74건 발생
  • 김포 풍무·사우 듀얼생활권, ‘풍무역세권 수자인 그라센트 1차’ 11월 분양
  • 서울창업허브 창동, 미디어·창조산업 스타트업 19개사 모집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단독] 국감 시즌, 갈려나가는 국회 보좌진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