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부실 대출 19조4000억… 은행권의 18배 위험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5.10.14 15:27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전국 새마을금고의 대출 10건 중 1건이 부실로 분류되는 등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PCM20250914000058990.jpg
새마을금고중앙회 사진=연합뉴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광희 의원(청주 서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2025년 6월 기준 전국 새마을금고 건전성 분류별 대출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국 새마을금고의 부실여신(고정이하 여신) 규모는 19조4000억 원, 부실비율은10.7%로 집계됐다. 이는 일반 은행권 평균(0.6%)보다 약 18배 높은 수준이다.


전국 1300여 개 금고의 총 대출액(181조7000억 원) 중 부실여신이 10.7%를 차지했고, 정상여신은 154조 원(84.8%), 요주의여신은 8조1000억 원(4.5%)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전북(19.6%), 부산(17.9%), 경기(17.6%), 서울(15.2%), 대구(15.5%) 등 대도시권과 산업단지 밀집 지역의 부실비율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반면 강원(8.8%), 충북(10.8%)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부동산 담보 중심의 대출이 위험요인으로 지목됐다.


이광희 의원은 “새마을금고는 서민의 금융기관이지만, 지금은 서민이 아닌 부동산 시장의 리스크를 떠안고 있다”며 “부동산 담보 중심의 여신 구조가 고착화되면서 지역 간 경제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새마을금고는 금융위원회나 금융감독원의 직접 감독 대상이 아니며, 행정안전부와 중앙회의 자율감독 체계에 의존하고 있다. 이 의원은 “부실금고가 발생해도 대응 속도가 느려 조합원 피해로 직결될 수 있다”며 “새마을금고는 예금보험공사 보호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부실이 현실화되면 지역경제가 직접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실제 새마을금고중앙회 경영공시에 따르면 전체 대출의 59% 이상이 기업자금대출로, 부동산 담보 중심의 구조가 고착화된 반면 예금자보호준비금은 2조9900억 원에 불과하다. 부실여신 규모(19조4000억 원)에 비하면 ‘안전판’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이 의원은 “행정안전부는 지역 간 부실 격차를 줄이고, 금고별 건전성 등급을 즉시 공개해야 한다”며 “부실금고 조기경보체계를 도입하고 감독체계를 금융위 수준으로 강화해 서민 금융 안전망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동물보호센터, 사실상 ‘죽음의 수용소’…유기동물 사망률 46%
  • 현대자동차-테이트 미술관, 사미 공동체 조명한 《현대 커미션》展 개막
  • 의료급여 수급자 3명 중 1명, 병원 문턱조차 못 넘어
  • 유럽 대형마트서 ‘중국 김치’ 표기 논란 지속
  • 오리온, 집에서 즐기는 ‘디저트 카페’ 한정판 5종 출시
  • K-콘텐츠 경제효과 1조인데… OTT 전담 인력 과기부는 ‘2명’뿐
  • 직업군인 자가보유율 42%… 황희 의원 “군 사기 진작 위한 특단 대책 필요”
  • 킴스클럽, ‘990원 스낵존’ 돌풍…한 달 만에 10만개 판매 돌파
  • “KT, 해킹 한 달 지나도 조치 없어”
  • 골프장 캐디, 성희롱·성추행에 노출… 안전사고도 잇따라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새마을금고 부실 대출 19조4000억… 은행권의 18배 위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