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문체부, 퇴근 후에 시작되는 '쉼표 있는 삶'

  • 박지민 기자
  • 입력 2019.09.24 09:2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원장 이규석, 이하 교육진흥원)과 함께 9월 말부터 11월까지 '2019 직장인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을 시범적으로 운영한다.


'2019 직장인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은 바쁜 일상에 지친 직장인들이 문화예술을 통해 일과 여가의 균형을 찾고, 문화예술 감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음악, 무용, 사진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퇴근 후의 직장인과 함께하는 특화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이번 사업은 ▲교육진흥원이 주관하는 '기획 프로그램'과 ▲취향을 공유하는 모임을 주도하는 민간 온라인 플랫폼인 '남의집 프로젝트'가 협업해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다.


'기획 프로그램'에서는 직장인들이 자신의 손, 눈, 귀 등을 통해 새로운 감각을 열어보고 감각의 균형을 찾아본다.


▲자신의 일상의 소리를 기록하고 직접 스피커를 만들어 감상하는 '나의 플레이어(사운드 예술)',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 생각을 단순화하고 몰입의 단계에 빠져보는 '나무를 깎고, 시간을 쓰다(목공)', ▲시간의 관점에서 나의 일상 속 숨은 시간을 사진으로 포착해 보는 '당신의 시간(사진)' 등, 총 6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남의집 프로젝트'와 협업하는 프로그램은 평소 접하기 어려운 예술가의 작업실에서 퇴근 후에 함께 문화예술 활동을 펼친다.


▲ 집과 회사를 잇는 출퇴근길을 인공위성이 되어 바라보고, 일상 속 특별한 모습을 찾아보는 '공간 읽기(시각예술)', ▲ 각자 불안을 느끼거나 두려운 것을 모아 나만의 괴물을 만들고 퇴치법까지 완성해 보는 '나만 아는 괴담, 내가 만드는 괴물(독립출판)', ▲ 이름을 통해 자신을 생각해보고 이름의 의미와 느낌에 맞추어 자신의 이름을 디자인해 보는 '알파벳으로 그려보는 그리운 이름[멋글씨(캘리그래피)]' 등, 총 8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문화예술교육은 아동·청소년뿐만 아니라 성인(20세∼64세)에게도 '행복감', '자기표현력', '자아존중감', '공감 능력' 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전 생애주기에 걸친 문화예술교육을 확대하기 위해 이번 시범사업 운영을 토대로 앞으로도 직장인을 비롯한 성인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KT 소액결제 해킹 피해 확산…동작·서초·일산까지
  • 美, H-1B 비자 수수료 1인 年 1.4억원…한미 비자 협상에도 파장
  • 농기계 교통사고 치사율, 전체 교통사고의 10배
  • 중국어선 불법어구 5년간 1,652통… 철거는 7%도 안 돼
  • 수협-오리온, 합작법인 ‘오리온수협’ 설립… 600억 출자
  • 올해 청년 7,200명 채용… 현대차그룹, 내년 1만 명 확대 검토
  • 하남 감이동 아파트  스크린골프장…공 튀어 얼굴 골절 사고
  • ‘넷마블’ 명찰만 달면 펄펄 나네
  • 최근 3년, 공항 마약 적발 2배↑…인천 넘어 지방공항까지 뚫려
  • 박상웅 의원 “부산대의 ‘교육부 승인’ 주장은 명백한 허위·날조”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문체부, 퇴근 후에 시작되는 '쉼표 있는 삶'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