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 9시 경
일주일에 서너번씩 예은이가 다녀간다.
가게 시작해서 맨 처음 만났던 아이고
가장 예뻐하는 아이이기도 하다.
어느날
할아버지 “이것 뜯어줘”
뭔데
“똥이야 ^^*”
우리세대는 생각도 할 수 없는 모양이다.
아마 내가 어릴 때 “똥이다”라고 큰소리로 입에 올릴 수 있었을까?
나는 이 모양의 과자를 아무도 거들떠 보지 않을 것 같아
주문하지 않았다,
예은이 덕분에 이 과자를 주문했고, 심심찮게 팔린다.
세월이 흘러가고, 유행이 변했다.
생각지도 못했던 모양의 상품들이 나오고
우리가 입에 올리기 힘들었던 단어들을 아무렇지 않게 말하는 시대.
세상 모든 사물이 마케팅의 대상이 되는 시대인가?
글/사진= 편의점 아재 625(유기호)
♣편의점 아재 625 칼럼은 기존 기사체에서 벗어나 일상 속에서 느낀 점을 자유로운 문체로 독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소상공인 사업장의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요즘 거리의 가게를 보면, 무인결제기와 스마트미러, 키오스크가 낯설지 않다.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초기 성과 면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가게 문을 지키는 소상공인들은 이렇게 묻는다. ‘이 기술...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한때 활기가 넘쳤던 골목과 시장, 공장지대가 지금은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로 활력을 잃고 있다. 도심 공동화와 지방소멸의 그림자는 이미 우리 생활 곳곳으로 스며들었다. 도시재생사업은 이러한 쇠퇴한 지역을 다시 살리는 가장 현실적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건물 보수나 미관 개... -
[이상헌의 성공창업 경제학] 민생회복지원금 후광효과 지속하려면…
정부가 경기 침체와 서민 경제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추진한 ‘민생회복지원금’ 정책은 당초 국민들의 큰 기대를 모았다.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위축된 소비심리를 회복하고 내수를 진작시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숨통을 틔워주겠다는 목적이었다. 그러나 지원금 소비가 마무리되는 지금, 그 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