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정보회사 듀오(대표 박수경)가 2030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결혼 후 재산관리’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미혼 10명 중 7명(71.4%)은 결혼 후 배우자가 모르는 개인 비상금을 만들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과반(54.0%)은 결혼 후 급여를 포함한 본인의 재산을 배우자에게 ‘모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일부 공개’는 42.2%, ‘공개 안 한다’는 3.8%였다. 배우자에게 재산을 공개하지 않는 이유는 ‘부부라도 서로의 재산을 모두 알 필요는 없어서’(57.9%)였다.
결혼 후 원하는 재산 관리 방식은 ‘공동 관리’(32.4%)였다. 이어 ‘경제 관념이 더 좋은 사람이 관리’(25.6%), ‘각자 관리’(23.2%), ‘아내가 관리’(5.6%), ‘재산 분야 나누어 관리’(5.0%), ‘남편이 관리’(3.8%), ‘상관 없다’(3.8%) 등의 순이었다.
부부가 재산을 공동으로 관리하길 원한 이들은 그 이유로 ‘함께 모아 효율적인 소비 계획을 세울 수 있어서’(56.2%), ‘투명한 재산 관리로 서로를 신뢰할 수 있어서’(16.0%), ‘부부라면 재산 관리도 함께하는 것이 당연해서’(13.6%)를 꼽았다.
반면 재산을 각자 관리하길 원하는 이유는 ‘자유로운 경제 생활을 누릴 수 있어서’(39.7%), ‘각자 관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 생각해서’(33.6%), ‘부부가 꼭 경제 공동체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서’(19.0%) 등이었다.
부부의 공동 재산은 ‘공동 명의’(67.8%)로 관리하길 바랐다. 이어 ‘각자의 재산 비율 적용’(21.8%), ‘남편 명의’(5.6%), ‘아내 명의’(3.6%) 순으로 조사됐다.
BEST 뉴스
-
"다양한 화폐 상장" 업비트, 올 4·5월 유저 관심도·호감도 1위
최근 2개월간 국내 5대 가상자산거래소 중 온라인에서 가장 높은 관심도를 차지한 곳은 '업비트'로 조사됐다. 지난 1~2월 조사에 이어 1위를 수성했다. 인포그래픽=데이터앤리서치 빗썸과 코인원이 뒤를 이었다. 12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블로그,카페,트... -
“AI, 과제부터 고민상담까지”… 10대 85%가 ‘챗GPT 세대’
국내 청소년 5명 중 4명은 인공지능(AI)을 일상에서 자주 활용하고 있으며, 학업뿐 아니라 감정 상담에도 AI를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복 브랜드 엘리트학생복이 지난 5월 중·고등학생 2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AI 활용 실태’ 설문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85%가 챗봇 대화, 이미지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