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KB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서울은 지난주 상승률 0.38%에서 0.39%로 지난 주와 유사한 흐름을 보였고, 경기도 역시 지난주 0.65%에서 0.66%로 유사한 상승을 보였다.
전국은 지난주 0.41%에서 이번주 0.40%로 상승폭이 유사하다. 전국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인 지역은 고양 덕양구 1.66%, 일산동구 1.64%, 남양주 1.33%, 서울 중구 1.07%, 성남 중원구 1.06%, 부산 연제구 1.05% 등 몇몇 지역에서 상승률 1% 넘는 높은 상승을 보였다.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기준점인 100을 넘는 110.8을 기록하며 지난주와 유사한 수준을 보이며 매수문의가 조금 더 많은 시장상황을 보였다.
지역별 매매가격 상승률을 살펴보면,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33%)는 대전(0.42%), 부산(0.36%), 대구(0.32%), 울산(0.30%), 광주(0.18%) 모두 상승했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 매매가격은 전주대비 0.16%를 기록하며, 지역별로는 세종(0.48%), 경남(0.21%), 경북(0.18%), 전북(0.17%), 충북(0.15%), 충남(0.07%), 강원(0.07%), 전남(0.01%)이 상승했고, 하락 지역은 없다.
서울의 전세가격은 0.32% 상승률을 보이며 지난주(0.30%)보다 소폭 확대되었다.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16%)는 에서는 울산(0.26%), 대구(0.24%), 대전(0.23%), 부산(0.12%), 광주(0.01%)가 상승했다.
광역시 이외의 기타 지방(0.13%) 전세가격은 세종(0.55%), 경남(0.18%), 전북(0.18%), 경북(0.09%), 충북(0.08%), 충남(0.05%), 전남(0.03%), 강원(0.01%)이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0.38%)와 유사한 0.39%을 기록했다. 중구(1.07%), 동작구(0.83%), 노원구(0.63%), 동대문구(0.61%), 구로구(0.54%)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을 보였다.
경기는 전주대비 0.66%를 기록하며 지난주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다. 고양 덕양구(1.66%), 고양 일산동구(1.64%), 남양주(1.33%), 성남 중원구(1.06%), 하남(1.02%)이 높게 상승했고, 하락한 지역은 없다. 인천(0.31%)은 서구(0.71%), 연수구(0.61%), 중구(0.24%), 동구(0.15%)등 전주대비 상승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대비 0.25%를 기록했다. 수도권(0.34%)과 5개 광역시(0.16%), 는 지난주 상승률과 유사하고, 기타 지방(0.13%)은 지난주 상승률보다 축소됐다.
서울은 전주 상승률(0.30%)보다 소폭 확대된 0.32%를 기록했고, 경기는 전주대비 0.37%를나타냈다. 5개 광역시에서는 울산(0.26%), 대구(0.24%), 대전(0.23%), 부산(0.12%), 광주(0.01%) 모두 상승했다.
서울 전세가격은 전주대비 0.32%를 기록하며 지난주보다 소폭 확대됐다. 중구(1.13%), 동대문구(0.88%), 용산구(0.61%), 노원구(0.52%), 구로구(0.47%)의 상승이 높았다.
경기도 아파트 전세가격은 성남 지역이 강세를 보이면서 전주대비 0.37% 상승을 기록했고, 인천(0.30%)도 전주대비 상승했다. 경기에서는 수원 권선구(1.20%), 수원 장안구(0.76%), 성남 분당구(0.69%), 고양 덕양구(0.66%), 의왕(0.66%) 등이 높게 상승했고, 인천에서는 서구(0.75%), 중구(0.40%), 연수구(0.39%), 계양구(0.31%) 등이 상승했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지난주(114.6)보다 조금 하락한 110.8을 기록했다. 매수 문의가 조금 더 많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광역시에서는 대전은 111.5를 기록하며 여전히 ‘매수자 많음’을 보이고 있는 반면, 대구 96.2, 울산 87.9, 광주 87.1, 부산 53.9로 100미만을 보였다.
BEST 뉴스
-
[단독] 포스코이앤씨 폭행 사망 사건 재조명… “도덕성 추락의 끝은 어디인가”
지난 2022년 12월 포스코이앤씨의 공사현장에서 벌어진 폭행 사망 사건이 재조명되며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다. 최근 잇따른 사망사고에 책임을 지고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대표가 5일 사의를 표명한 가운데, 조용히 묻혔던 ‘감리단 공무팀장 폭행치사 사건’은 단순한 사고가 아닌 예고된 비극이었다는 정황이 속속 드러... -
[단독] "LG전자, 직원 10명 중 4명 잘린다…초대형 희망퇴직"
LG전자가 대규모 감원에 돌입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LG전자 직원만 가입할 수 있는 폐쇄형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최근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담아 "기사화를 부탁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 글의 작성자는 LG전자 소속을 인증한 LG전자 직원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신빙성 있는 자료로 분석된다. ... -
[단독] 반얀트리 계열 5성급 호텔이 불법노동자를…카시아 속초, 저품질 서비스 논란
5성급 호텔을 표방하고 나선 카시아 속초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서비스로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와 같은 서비스의 배경엔 불법체류자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5성급 호텔의 명성에 미치지 못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유 중 하나로 풀이된다. 카시아 속초 전경 이미지=...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단독] “백종원 믿었는데”…폐업 점주의 마지막 호소
경기도의 한 가맹점주가 폐업을 결심하며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에게 호소문을 남겼다. 이 점주는 창업 전부터 브랜드를 신뢰하며 큰 투자를 감행했지만, 본사의 무책임한 대응과 구조적인 문제로 극심한 운영난을 겪은 끝에 결국 가게 문을 닫는다고 밝혔다. 이미지출처=롤링...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