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세단을 타던 사람이 SUV 새 차를 사면서 다시 세단으로 갈아탄 비율이 10년 사이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반면 신규/대체구입 모두에서 SUV는 2.5배 이상 크게 증가해 세단과 같은 규모(34%)가 됐다. 이런 탈(脫) 세단 추세라면 수년 안에 ‘세단 → SUV’가 ‘세단 → 세단’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 전문 소비자 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2001년부터 매년 7월 10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연례 자동차 기획조사'에서 지난 1년 내 승용차 신규/대체 구입자를 대상으로 이전 차종과 현재 차종이 무엇인지 물었다. 국산 세단과 SUV를 중심으로 지난 10년 동안(2011~2020년)의 차종 간 이행성향을 비교했다.
■ 신규로 세단 구입한 비율은 3분의1 토막
전체 승용차 시장에서 국산 세단 보유자가 다시 세단으로 갈아탄 비율은 2011년 45%에서 지난해 23%로 절반이 줄었다.
같은 기간 신규로 세단을 구입한 비율은 15%에서 6%가 돼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반대로 SUV에서 세단으로 갈아탄 비율은 10년 간 4~5%대에서 큰 변화가 없었다. 많은 사람이 처음 차를 사면서 SUV를 택하거나 타던 세단에서 SUV로 옮겨가는 현상이 뚜렷하다.
세단에서 SUV로 갈아탄 비율은 2011년 9%에서 지난해 16%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이 기간 SUV에서 다시 SUV로 갈아탄 비율은 4%에서 12%로 3배가 됐으며, SUV 구입은 2%에서 5%로 2.5배 증가했다.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수년 안에 세단 보유자가 세단보다 SUV로 갈아타는 비율이 더 커지는 일이 생길 수도 있다. 이같은 ‘세단 약세-SUV 강세’ 추이는 최근 10년 동안 대체로 일관된 모습을 보였으며 최근 3년간의 추세는 더욱 확연하다.
예외적으로 2017년 전후로 세단 → 세단과 세단 → SUV 이행성향이 정체 또는 역전하는 현상이 발생했는데 이는 전기차를 포함한 세단 신차가 대거 출시됐기 때문이다.
SM6·아이오닉·제네시스 G70 등 신차와 그랜저·K7·말리부 등 신형 세단이 잇따라 선보였다. 반면 SUV로는 QM6·니로·티볼리 에어 등이 출시됐지만 모델 수와 인기도에서 세단에 크게 못 미쳤던 시기다.
■ 세단-SUV 이행비율 차이 10년만에 41%P서 0%P로

2011년 기준 승용차 신규/대체구매 때 세단으로의 이행비율(세단 이행비율)을 합하면 66%였고 SUV 이행비율의 합은 15%로 둘 사이의 갭이 41%포인트에 달했다.
그러나 2020년에는 세단과 SUV의 이행비율이 각각 34%로 동률을 이뤄 10년 사이에 갭이 완전히 사라졌다. 세단 수요의 상당부분을 SUV 외에도 수입차와 다목적차(MPV) 등이 잠식하며 ‘기타’ 비중이 33%까지 올랐기 때문이다.
2020년 7월 기준 1년 내 신차(승용차) 구입자 중 50.1%는 RV(SUV+MPV)를 선택해 조사 이후 처음으로 절반 수준에 도달했다(신차 2대 중 1대 ‘RV’... 그 중 3분의1은 40대가 샀다 참조). RV와 세단 신차 비중이 거의 같아진 것이다.
SUV가 RV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국산 세단과 SUV 간의 점유율 차이가 제로(0)에 수렴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다. 당장 올해부터 SUV 신차 비중이 세단을 앞지를 가능성이 있으나 세단 중심인 전기차가 어느 정도 팔릴 것인지도 중요하다.
SUV는 넉넉한 실내공간과 실용성으로 무장한 데다 더 안전할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 코로나19 이후 달라진 라이프 스타일 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자동차 메이커들도 이런 추세에 따라 수년 전부터 세단 라인업을 줄이고 SUV 라인업을 경쟁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시판 중인 승용차 모델 수에서 SUV가 세단을 이미 앞질러 설령 세단을 사고 싶어도 선택지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게 현실이다. 시장의 중심으로 떠오른 SUV의 위상이 앞으로 더욱 강해질 것임을 예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BEST 뉴스
-
김건희 ‘판도라 폰’ 공개되자… 도이치 공범 이준수 추적, 행방 묘연
김건희 여사의 휴대전화 포렌식 자료가 공개되면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의 ‘숨은 인물’로 지목돼온 56세 이준수 씨의 실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8월12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 출석하고 있다. 사... -
강남 똑똑플란트치과, 결국 터질게 터졌다 …노동부 특별감독 착수
서울 강남구 대형 임플란트 전문 치과인 똑똑플란트치과에서 수년간 비정상적인 근로 관행과 직장 내 괴롭힘이 벌어졌다는 의혹이 확산되며 고용노동부가 특별근로감독에 착수했다. 이번 사안은 입사 이틀 만에 퇴사한 직원에게 180만원을 배상하라는 내용증명이 발송되면서 시작됐다. 해당 사실이 온라... -
“시대인재” 저작권 무단 사용…문저협 가처분·형사 고소 강행
국내 최대 문학·예술 저작권 관리 단체인 한국문학예술저작권협회(문저협)가 대치동 대형 입시학원 ‘시대인재’를 상대로 저작권 침해금지 가처분을 신청하고 형사 고소 절차에 들어갔다. '교육 목적을 명분으로 참고서·문학 지문을 무단 발췌하고 출처를 누락하는 사교육 시장 관행을 더는 ... -
'반성문 강요·3시간 대기·사후관리 실종'…논란 확산하는 똑똑플란트치과
강남의 한 치과를 둘러싼 논란이 점차 확산 일로를 걷고 있다. 직원들에게 수백 줄짜리 반성문 작성, 면벽 서기, 고성·욕설이 반복됐다는 내부 제보가 불거져 고용노동부가 특별근로감독에 착수한 데 이어, 이번에는 환자들의 시술 불편·사후관리 부재·비용 논란이 잇따라 제기되며 파문이 다시 커지고 있다. ... -
‘매우 혼잡’ 대한항공 라운지…아시아나 승객까지 쓴다고?
#. 16일 대한항공 비즈니스석을 타고 인천에서 시드니로 떠난 대한항공 고객은 이날 대한항공 앱에서 2터미널 라운지 혼잡 정도를 검색했다가 깜짝 놀랐다. 2터미널에 있는 3개의 대한항공 라운지가 전부 빨간색으로 표기되며 ‘매우 혼잡’이라고 경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 8월 새롭게 연 ... -
매출 3억 원 하렉스인포텍, 2조8천억 홈플러스 인수?
국내 대형마트 2위인 홈플러스 인수전에 ‘하렉스인포텍’이라는 낯선 이름이 등장했다. 하지만 이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3억 원에 불과하고, 직원 수도 20명 남짓한 소규모 비상장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회사는 2조8천억 원 규모의 자금 조달 계획을 내세우며 홈플러스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