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업무메일 위장해 유포되는 악성코드 재발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1.06.03 06:52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최근 업무 메일에 대한 회신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가 또 다시 발견됐다. 지난해 1~2월에도 발생했던 견적서를 위장한 악성메일을 보내면서 실제 특정 기업을 사칭한 사례와 비슷하다. "견적을 의뢰하니 첨부 파일을 참조해 협조 부탁드린다"는 메일 본문에 ‘OOO(회사명)-발주서 송부의 건’이라는 악성코드를 포함한 압축파일을 첨부한 바 있다. 

 

3554238800_20210601171716_6415661852.jpg
안랩이 공개한 공적 조서 발송에 대한 회신 메일

 

이번 악성코드 공격자는 공적 조서 송부, 동영상 편집본 확인 요청, 학술 행사 안내 관련 업무메일을 미리 수집한 후 해당 메일을 발송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악성 엑셀 파일이 담긴 압축파일을 첨부해 회신 메일을 보냈다. 특히 공격자는 회신에 정보 공개를 요구하거나 업무 요청을 하면서 사용자가 첨부파일을 실행하도록 유도했다.


이번에 발견한 악성 메일은 총 3종류다. 공격자는 특정 사용자가 표창 발급을 위해 발송한 공적 조서 메일에 대한 회신으로 ‘당신의 상사에게 이 메일을 보여줄까?’라며 ‘정보가 공개되기 전에 첨부파일을 확인하라’는 협박성 내용을 기재했다. 다른 사용자가 보낸 동영상 편집본 확인 요청 메일에 ‘모든 데이터를 직접 확인하면 좋겠다, 파일을 첨부했다’는 내용으로 회신하기도 했다. 특정 단체가 발송한 학술행사 안내 메일에 대한 회신으로 ‘일주일 전에 확인하라고 요청한 사례도 있다. 파일을 복사했으니 확인하라’는 내용을 보내 악성 첨부파일 실행을 유도했다. 


세가지 경우 모두 악성코드 동작 방식은 동일하다. 만약 사용자가 무심코 해당 회신 메일의 첨부파일을 내려받아 악성 엑셀 파일(.xlsm)을 실행하면 ‘내용을 보기 위해 콘텐츠 사용 버튼을 클릭하라’는 메시지가 등장한다. 사용자가 메시지에 속아 화면 상단의 ‘콘텐츠 사용’ 버튼을 클릭할 경우 악성코드에 감염된다.


감염 이후 악성코드는  C&C 서버(Command & Control 서버. 공격자가 악성코드를 원격으로 조종하기 위해 사용하는 서버)에 접속해 랜섬웨어, 정보 유출 악성코드 등을 추가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현재 V3 제품군은 해당 악성코드를 진단하고 있다.


악성코드 피해를 당하지 않으려면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의 첨부파일과 URL 실행금지, 백신 최신버전 유지 및 실시간 감시 기능 실행, 파일 실행 전 최신 버전 백신으로 검사, OS 및 인터넷 브라우저, 오피스 SW 최신 보안 패치 적용 등 필수 보안 수칙을 실행해야 한다.


안랩 분석팀 장서준 주임연구원은 “이번 사례는 공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보낸 메일을 수집해 해당 메일의 회신으로 악성코드 유포를 시도한 것이 특징”이라며 “직접 보낸 메일에 대한 회신이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의심하지 않고 피해를 볼 수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이나 첨부파일 등은 실행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해킹 없었다”는 LGU+·KT… 협력사만 정부에 침해 신고
  • 온유, 방콕 첫 단독 콘서트 성황… 함파트너스 그룹 주최
  • MCT페스티벌서 인플루언서들 나눔 바자회 열어
  • 박진영, 대통령이 지목한 문화 파트너…그 질문한 기자는 누구?
  • 5년간 부동산 거래신고 위반 의심 3만4724건… 허위신고·증여 추정이 대부분
  • 폭염·폭우에도 추석 차례상 비용 ‘선방’
  • 작년 유흥업소서 ‘법카’ 6000억… 룸살롱에만 3200억
  • 자진신고 이유로… 공정위, 담합 기업에 5년간 과징금 3433억 감면
  • “故 오요안나는 MBC 노동자다”… 법률가단체, 1주기 맞아 문제 해결 촉구
  • 현대건설, 압구정2구역에 '파격 금융조건' 제안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업무메일 위장해 유포되는 악성코드 재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