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 무항생제 축산물이라면 ‘돈 20% 더 내겠다’

  • 류근석 기자
  • 입력 2021.07.20 19:36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항생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키운 가축에서 얻는 이른바 무항생제 축산물이 분명하다면 국내 소비자는 일반 축산물보다 20%가량 가격을 더 지급할 용의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3554954650_20091009091508_6864160725.jpg
친환경 제주산 제동목장 명품한우 사진=KAL호텔

 

이는 항생제 내성균 출현과 축산물의 항생제 잔류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를 잘 보여주는 결과다. 서울대 수의학과 천명선 교수가 농림축산검역본부(검역본부)의 의뢰를 받아 2019년 10∼11월 전국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축산물에 대한 선호도 등 온라인 설문 조사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가축용 항생제 사용과 이로 인한 항생제의 축산물 내 잔류,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과 확산에 대한 대중의 막연한 우려가 무항생제 축산물의 선호도를 끌어올린 셈이다.

 

무항생제 축산물을 살 때 ‘일반 축산물보다 가격을 10% 더 지급할 용의가 있다’는 소비자가 전체 응답자의 44.5%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25% 더 내겠다’(22%), ‘5% 더 내겠다’(16.7%), ‘50% 더 내겠다’(11.2%) 순이었다. 

 

전체 응답자 평균은 ‘무항생제 축산물을 살 때 19.8% 더 지급할 용의가 있다’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가 항생제 미사용 돼지에서 유래한 무항생제 돼지고기를 구매할 때 일반 돼지에서 얻은 일반 돼지고기(28만5,000원, 돼지 1마리분) 가격보다 약 20% 높은 34만1,000원을 ‘무항생제’ 돼지고깃값으로 내겠다는 뜻이다. 


무항생제 계란의 1알당 가격이 일반 계란(250원)보다 20% 정도 많은 300원이라고 하더라도 소비자가 기꺼이 지갑을 열 수 있다는 의견을 밝힌 것은 그만큼 국내 소비자가 항생제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방증이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과 한국비용편익분석연구원은 검역본부의 의뢰를 받아 돼지고기ㆍ닭고기ㆍ계란 등 일반 축산물의 10%를 무항생제 축산물로 대체한다고 가정할 때 이로 인한 사회 후생 증가분을 산출했다. 축산물 전체 판매 규모가 1,418억원이나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충북대 경제학과 임병인 교수는 “실제 시장에선 무항생제 축산물 가격이 일반 축산물보다 30%가량 높다”며 “고기 등 축산물에 항생제가 잔류할까 봐 걱정하는 소비자가 많은 만큼 축산 분야에서 항생제 사용을 줄이기 위한 축산물 안전 당국의 효율적인 정책 마련과 실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이상헌의 성공창업 경제학] 민생회복지원금 후광효과 지속하려면…
  • 넷마블·콩스튜디오 맞손
  • ‘복지 사각지대’ 가족돌봄아동에 손 건넨다
  • 이들이 별을 너무 따서 이제 없다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소비자, 무항생제 축산물이라면 ‘돈 20% 더 내겠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