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WHO "원숭이두창 27개국서 780건 이상 확진”…감염자 국내 유입 가능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2.06.06 15:38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5일 기준 비풍토병지역 27개 국가에서 780건의 원숭이두창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Screenshot 2022-06-06 at 15.18.59.jpg
지난 5월 13일부터 6월 2일 사이 공식적으로 WHO에 보고된 원숭이두창 발생국가 현황.자료=WHO

 

WHO는 홈페이지를 통해 원숭이두창 확진자 통계 자료를 공개하며 다른 국가로 추가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발표했다. 국가별 원숭이두창 감염 사례를 보면 영국이 207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스페인 156건, 포르투갈 138건, 캐나다 58건, 독일 57건, 프랑스 33건, 네덜란드 31건 순이다. 


유럽 외에 미국에서도 19건의 감염사례가 보고됐다. 또 아르헨티나, 호주, 모로코, 아랍에미리트(UAE)에서 한 자릿수의 감염사례가 보고됐다고 WHO는 밝혔다.


Screenshot 2022-06-06 at 15.18.44.jpg
원숭이두창 발생국가와 감염자 수. 자료=WHO

원숭이두창은 천연두와 비슷한 증상으로 중·서부 아프리카에서는 이미 풍토병화된 바이러스로 분류됐다. 하지만 지난달 7일 영국에서 원숭이두창 감염 사례가 확인된 이후 유럽과 미주·중동·호주 등에서 잇따라 감염자가 발생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아직 끝나지 않은 상황에 또 다른 바이러스가 발생한 것에 우려가 제기됐다. 원숭이두창은 코로나19만큼 감염 속도와 전파력이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는 동성과 성관계를 가진 남성 사이에서 감염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원숭이두창은 일반적으로 치명률이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비풍토병 지역의 경우 원숭이두창 감염 후 사망자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하지만 WHO는 "현재 전반적인 공공보건에 관한 위험은 낮지만, 만약 이 바이러스가 이번 기회를 이용해 널리 확산한 인간 병원체로 자리매김한다면 공공보건에 관한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현재 글로벌 공공보건에 대한 위험은 중간 수준"이라며 "원숭이 두창 감염사례가 풍토병과 비풍토병 지역에서 동시에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코로나19 관련 해외 입국 규제가 전면 해제되면서 해외로부터 원숭이두창 감염자가 입국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감염된 상태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채 국내에 입국할 경우 무방비 상태다. 감염자가 입국 후 무증상 상태로 여러 사람들과 접촉한다면 국내 감염 확산을 막을 수 있을지 예단할 수 없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매드포갈릭, 창립기념 ‘9월 감사 혜택’ 프로모션
  • 쿠팡풀필먼트, 현장관리자 600명 공채
  • 아웃백, ‘프리퀀시 E-스탬프 시즌 3’ 이벤트 진행
  • 볼보, 순수 전기 SUV EX30CC 국내 출시
  • 극장판 ‘귀멸의 칼날’ 흥행에 원작 만화 판매 6배 급증
  • ‘1위 박보검 vs 2위 조정석’...‘K-브랜드지수’ 배우 부문 TOP10 발표
  • 빙그레, 과채주스 ‘캐옴’ 신제품 2종 출시
  • 스텔라 아르투아, 권성준 셰프 한국 공식 앰버서더 발탁
  • ‘Better Beef Market’… 육우 즐기는 주말 축제
  • 어도비 포토샵, ‘한복’ 입력했더니… 일본풍 의상 등장 논란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WHO "원숭이두창 27개국서 780건 이상 확진”…감염자 국내 유입 가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