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혈압 올리는 나트륨과 혈압 낮추는 칼륨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3.08.08 13:58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우리 국민이 섭취하는 식품 중 혈압을 낮추는(조절하는) 칼륨 섭취에 가장 기여하는 개별 식품은 커피인 것으로 밝혀졌다. 혈압을 올리는 나트륨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은 소금이 포함된 조미료류였다. 

 

saf.png
일러스트=픽사베이 제공

 

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서울대 식품영양학과 김초일 객원교수팀이 식품별 영양성분 함량 DB(데이터베이스)와 한국형 총식이조사 결과를 근거로 우리 국민의 나트륨ㆍ칼륨 섭취량을 평가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우리 국민의 나트륨 및 칼륨 섭취량 평가: 식품별 영양성분 함량 DB와 한국형 총식이조사 기반 추정량 비교 연구)는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나트륨이 가장 많이 든 식품은 소금이 포함된 조미료류로 100g당 거의 5g이 들어 있었다. 해조류가 그 뒤를 이었다(100g당 1.7g). 칼륨이 가장 많이 든 식품은 해조류(100g당 0.9g)와 조미료류(100g당 0.3g)였다.

 

김 교수팀은 한국형 총식이조사를 통해 분석된 영양소 함량을 개인의 식품 섭취량에 적용해 나트륨과 칼륨의 섭취량을 추정했다. 

 

나트륨을 적정량 섭취하는 사람은 3명 중 1명꼴에 불과했다. 하루 나트륨 섭취량은 섭취 권장 제한량의 거의 1.5배였다. 

 

우리 국민의 나트륨 섭취에 기여도가 가장 높은 식품군은 조미료류였다. 이어 채소류ㆍ곡류ㆍ육류 순으로 기여했다. 개별 식품으론 소금ㆍ김치ㆍ간장ㆍ된장ㆍ라면ㆍ고추장ㆍ빵ㆍ쌈장 등이 나트륨 섭취 기여도가 높았다. 

 

우리 국민의 칼륨 섭취에 가장 크게 이바지한 식품군은 채소류였다. 칼륨 섭취에 가장 크게 기여한 개별 식품은 커피였다(전체 칼륨 섭취의 9.3%를 커피에서 섭취). 배추김치(9.1%)ㆍ돼지고기(5.2%)ㆍ우유(4.6%)도 우리 국민의 칼륨 섭취에 기여를 많이 하는 식품이었다. 

 

우리 국민의 1인 하루 나트륨 평균 섭취량은 2,807㎎이었다. 이탈리아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3,812㎎)보다는 적었고, 홍콩(2,600㎎)ㆍ프랑스(2,653㎎)ㆍ미국(2,739㎎)과는 엇비슷했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나트륨 기여도 상위 식품 10종 중 5∼6종이 조미료류라는 점에 비춰볼 때 나트륨 섭취량을 줄이기 위해선 무엇보다 음식을 좀 더 싱겁게 먹도록 하는 소비자의 식습관 변화가 중요하다”며 “산업체의 다양한 저나트륨 제품 생산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10년간 우리 국민의 평균 나트륨 섭취량이 30% 이상 감소한 것도 나트륨 저감화 캠페인, 국민 인식 제고, 저 나트륨 제품 개발 지원 등 국가 차원에서의 정책적 노력 덕분이란 것이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5년간 부동산 거래신고 위반 의심 3만4724건… 허위신고·증여 추정이 대부분
  • 폭염·폭우에도 추석 차례상 비용 ‘선방’
  • 작년 유흥업소서 ‘법카’ 6000억… 룸살롱에만 3200억
  • 자진신고 이유로… 공정위, 담합 기업에 5년간 과징금 3433억 감면
  • “故 오요안나는 MBC 노동자다”… 법률가단체, 1주기 맞아 문제 해결 촉구
  • 현대건설, 압구정2구역에 '파격 금융조건' 제안
  • 5년 새 두 배 늘어난 무면허 운전…10명 중 4명은 미성년자
  • “업무정지에도 몰래 진료”… 최근 5년간 요양기관 부정수급 1,161억
  • 농심 1위·대상 TOP10 신규 진입…식음료 상장사 브랜드 순위 재편
  • SPC삼립, ‘뉴욕식 베이글박스’ 2종 선보여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혈압 올리는 나트륨과 혈압 낮추는 칼륨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