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미혼 男 30% 女 66% “배우자 부모님 합가 반대할 것”

  • 류근원 기자
  • 입력 2025.02.21 09:29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미혼남녀 10명 중 3~4명 “상대 부모님 노후 대비 必”

연애가 아닌 결혼은 당사자뿐 아닌 집안 간의 만남이기에, 결혼 진행 시 상대 부모님의 영향도 클 수밖에 없다.


250221 가연 ‘배우자 부모님 합가&노후’ 조사.jpg

 

결혼정보회사 가연이 지난달 2539 미혼남녀 500명(각 250명)에게 진행한 ‘2025 결혼 인식 조사’ 중, ‘배우자 부모님’에 대한 부분을 정리해 공개했다. (1월 16일, 오픈서베이 모바일 조사, 신뢰수준 95% 표본오차 ±4.38%P)


먼저 결혼을 고려할 때, ‘배우자의 부모님과의 합가에 대한 생각’을 조사했다. 남성의 경우 처가, 여성의 경우 시가로 미리 정의했으며, 그 결과 ‘반대할 것이다’가 48%로 많은 공감을 얻었다. 다음 ‘상황에 따라 논의할 여지가 있다(41.8%)’, ‘찬성할 것이다(6.4%)’, ‘배우자의 의견에 적극 따를 것이다(3.8%)’ 순이었다. 상황에 따라 논의하겠다는 의견을 제외하면, 찬성(6.4%)과 반대(48%)의 차이는 약 8배였다.


이어 결혼 고려 시 ‘배우자 부모님의 노후 대비에 대한 의견’을 함께 물었다. 여기에는 집과 소득, 연금 등을 포함했다. 응답자 중 가장 많은 56.6%가 ‘되어있으면 좋지만, 결혼을 다시 생각할 정도는 아니다’를 선택했다. ‘필수로 되어있어야 한다(20.8%)’와 ‘되어있지 않으면, 결혼을 다시 생각해 볼 것이다(14.6%)’처럼 10명 중 약 3~4명은 상대 부모님의 노후 대비를 필수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되어있지 않아도 상관없다(7.2%)’, ‘기타(0.8%)’ 순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남성과 여성의 응답이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배우자 부모님과의 합가에 반대한 남성은 30%, 여성은 66%였고, 찬성한 남성은 10.4%, 여성은 2.4%에 불과했다. 또 상대 부모님의 노후 대비를 필수로 생각하는 남성은 24.4%, 여성은 46.4%로, 시가와의 관계와 안정성을 더 중하게 여기는 여성이 많은 셈이다. 시대가 많이 변했다 해도, 장모와 사위 간의 ‘장서갈등’보다는 시모와 며느리 사이의 ‘고부갈등’이 더 자주 언급되는 것이 그 배경으로 보인다.


가연 한원정 커플매니저는 “결정사에서는 가족관계증명서로 인증을 거치는 게 필수이며, 부모님 직업 및 집안 경제력 등의 요소를 참고할 수 있다. 보통은 가정 환경과 분위기 등이 서로 비슷한 사람과 만나기를 원하나, 개인마다 선호·취향이 워낙 다양해서 무조건적이지는 않다”라며 “아무래도 부모님 노후 대비가 잘 되어있다면 안정적인 부분을 어필할 수 있는데, 만약 그렇지 않더라도 충분히 서로 조율해서 기준을 맞춰 정하면 된다”라고 전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추석 선물, 중고로 팔았다가 ‘범법자’ 될 수도
  • 추석 명절 음식  칼로리 1위는?
  • K-뷰티 호황 속, 에이피알 원가보다 마케팅 비용이 더 크다고?
  • 명절 고속도로 사고 5년간 194건…“전방주시태만 가장 많아”
  • 해외 보이스피싱 급증, 범죄지 동남아 전역으로 확산
  • 강원랜드 ‘콤프’ 5,700억 원 지급, 불법 사용 속수무책
  • 새마을금고 금융사고 6년간 440억…임직원 제재공시 350건 넘어
  • 중소기업 돕는다더니…공공기관, ‘수수료 100억 챙기기’ 논란
  • 보훈급여 부정수급 47억 신규 적발
  • 김건희 일가 운영 요양원, 노인학대 판정서 공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미혼 男 30% 女 66% “배우자 부모님 합가 반대할 것”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