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전국민 마음투자’ 수도권·청년층에 쏠려…중장년층은 소외

  • 박상현 기자
  • 입력 2025.09.11 23:28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윤석열 정부가 우울·불안 등 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국민을 돕겠다며 야심차게 내놓은 ‘전국민마음투자지원사업(심리상담바우처)’이 수도권과 20~40대에 집중돼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작 자살률이 높은 중장년층과 지방 거주자들은 소외되고 있다는 것이다.

 

 

PCM20230613000249530.jpg
사진=연합뉴스 제공

 

1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사회보장정보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서비스 제공기관의 51.9%(857곳), 제공 인력의 58.8%(3,190명)가 수도권에 몰려 있었다.


연령별 이용자 분포를 보면, 30대가 26%로 가장 많았고 이어 ▲20대(19.6%) ▲40대(18.2%) ▲10대(14.8%) 순이었다. 그러나 2023년 자살률은 ▲80대 이상(59.4명) ▲70대(39명) ▲50대(32.5명) ▲40대(31.6명) ▲60대(30.7명) 등 중장년층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실제 위험군과 지원 대상 간 괴리가 뚜렷한 셈이다.


지역별 편차도 컸다. 전체 이용자 8만 8,318명 가운데 서울·경기·인천 수도권 이용자가 57.7%를 차지했다. 결제 건수 52만 2,251건 가운데 서울(26.7%)과 경기(26.6%)가 절반 이상을 가져갔다. 반면 경북(4.9%), 경남(4.8%) 등 비수도권 지역은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서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이 사업을 예타(예비타당성조사) 없이 서둘러 추진한 탓에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며 “정신건강을 지킨다는 본래 취지를 살리려면 중장년층·지방 거주자의 접근성을 강화하고 지역·연령별 편차를 줄이는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 동서식품 ‘맥심골목’, ‘광고주가 뽑은 올해의 마케터상’ 수상
  • UAM 도입 앞둔 인천, 국가중요시설 간 드론 대응 수준 ‘불균형’
  • 국립등대박물관 안내 앱, 개발비 수억 들었지만 이용은 미미
  • 이디야커피, 보이넥스트도어 협업 음료 출시 직후 품절 행렬
  • 한국전력기술,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품질의 날’ 개최
  • 거리에서 무대로… ‘청춘마이크’ 10년 여정 기록
  • 영국과 미국 헤리티지의 만남… 바버, 리바이스와 협업 컬렉션 출시
  • 국민연금 책임투자 자산 중 97% ‘ESG 워싱’ 논란
  • 웅진식품, ‘2025 JTBC 서울마라톤’ 공식 음료로 참여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전국민 마음투자’ 수도권·청년층에 쏠려…중장년층은 소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