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세금 2,500억 투입에도…인천대교 투신 막을 장치 없다"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5.09.25 23:2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인천대교에서 또 다시 사람이 투신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25일 인천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3시 33분 인천대교 상황실로부터 “사람이 다리 아래로 떨어진 것 같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현장에 출동한 해경은 주탑 부근 도로에 정차된 차량을 발견했으며, 내부에서는 유서가 발견된 것으로 전해졌다. 해경은 운전자가 바다에 몸을 던진 것으로 보고 경비함정 3척을 투입해 수색 작업을 벌이다 결국 신고 8시간 만에 해상에서 숨져있는 운전자를 발견했다.


이달 들어서만 세 번째 발생한 투신 사고다. 이달 9일과 22일에도 30대 운전자들이 각각 차량을 세운 뒤 투신해 숨졌다. 2009년 개통 이후 인천대교에서 투신으로 사망한 사람은 이번까지 총 80명에 달한다.


PCM20230302000088003.jpg
인천대교 [국토교통부 제공. 연합뉴스]

 

인천대교는 총 길이 21km가 넘는 초대형 사장교로, 인천 송도와 영종도를 연결하며 공항 접근로 역할을 한다. 건설에는 약 1조 5천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됐으며, 현재는 민간 운영사인 인천대교 주식회사가 2039년까지 관리·운영을 맡고 있다. 그러나 높은 교량 구조 특성상 투신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으며, 운영사와 당국의 대책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나온다.


당국은 2022년 11월 차량 갓길 주정차를 막기 위해 플라스틱 드럼통 1,500개를 설치했지만, 긴급 상황 대응의 어려움이 제기되면서 지난달 전면 철거됐다. 현재는 사실상 투신을 막을 물리적 시설이 없는 상태다. 추락방지 시설 설치가 근본 대책으로 꼽히지만, 구조 안전성 검토와 120억 원에 달하는 예산 확보 문제, 그리고 정부·인천시·운영사 간 비용 분담이 해결되지 않아 2년 가까이 표류 중이다.


더욱이 개통 이후 정부와 지자체가 투입한 재정 지원 규모는 이미 상당하다. 교통량 저조로 정부는 지금까지 최소운영수입보장(MRG) 명목으로 약 1,218억 원을 지급했고, 인천시는 영종·용유 주민 지원 차원에서 1,322억 원을 보전했다. 합치면 2,500억 원이 넘는 공적 자금이 투입된 셈이다.


이처럼 대규모 예산이 투입됐음에도 불구하고 안전대책은 여전히 미흡해, 관리·감독의 허술함이 문제로 지적된다. 


전문가들은 단순한 안전시설 설치 논의를 넘어, 지금까지 집행된 재정 지원 내역과 운영사 관리 책임을 철저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민자사업 특성상 수익 보전과 운영비 지출 구조가 불투명하게 관리될 경우, 국민 세금이 투입되면서도 안전성과 공공성은 확보되지 않는 ‘이중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결국 인천대교 문제는 단순히 투신 사고를 막는 차원을 넘어, 공공 자금의 집행 내역과 운영사 책임에 대한 투명한 검증, 그리고 정부·지자체의 철저한 관리·감독이 병행돼야 풀릴 수 있는 구조적 과제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한미글로벌, 쿠웨이트·사우디 잇단 수주…중동서 470억 낭보
  • 한국철도공사, 공공기관 중 직장 내 괴롭힘 노동청 진정 1위
  • 점주·고객 모두 잡는 ‘소자본 창업’…육수당 성장세
  • 더벤티, ‘시그니처 로스트’ 업그레이드…점주·고객 의견 담았다
  • 국세청 겨냥한 사이버 공격, 올해 폭증…8월까지 역대 최다
  • 서울시민 1인당 문화예술 예산 ‘전국 꼴찌’
  • 외교부, 종합청렴도 평가 3년 연속 ‘최하위권’
  • “야구 직관엔 뿌링클” … bhc, 프로야구장 최다 판매 메뉴 1위
  • 소비자분쟁조정 4개월 걸려도 해결 못해… 평균 123일 vs 법정 30일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세금 2,500억 투입에도…인천대교 투신 막을 장치 없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