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 청라 아파트 주차장에서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건으로 인해 배터리 안전성 문제가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이번 사고는 전기차 구매를 고려 중이던 많은 소비자에게 충격을 주었으며, 안전한 전기차를 언제쯤 구매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깊게 만들었다. 전기차는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지만, 현재 보급 속도는 정부 목표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다.

자동차시민연합 임기상 대표는 "2030년까지 약 450만 대의 전기차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58만 대에 불과하다"라며 "매년 60만 대씩 판매해야 목표를 달성할 수 있지만, 실제 판매량은 16만 대 수준에 그쳐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 처음부터 화재 위험성이 있는 리튬 배터리를 채택한 이유는?
전기차 초기 개발에서 리튬 이온 배터리가 채택된 이유는 기술이 이미 완성되어 있었고 대량 생산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성능이 뛰어나지만, 내부의 액체 전해질이 충격이나 과열 시 화재와 폭발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최근 인천에서 발생한 벤츠 전기차 화재 사건도 이러한 위험성을 잘 보여준다. 배터리 내부에서 '리튬 덴드라이트'라는 것이 형성되면 치명적인 화재 위험성이 있다. 반면, ‘전고체 배터리’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화재와 폭발 위험이 훨씬 낮다. 덴드라이트 형성도 억제되어 배터리 수명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된다. 현재 한국, 일본, 미국이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에서 앞서고 있으며, 한국의 현대자동차와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도 이 기술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리튬 이온 배터리 덴드라이트는 충전 중에 음극에 리튬 이온이 불균일하게 축적되면서 형성되는 나뭇가지 모양의 구조이며, 이 덴드라이트가 자라서 양극과 음극 사이의 분리막을 뚫으면, 단락(short circuit)이 발생. 단락으로 배터리 내부에서 급격한 발열이 생기고, 열폭주(thermal runaway)로 이어져 화재나 폭발이 발생할 수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로,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열폭주가 억제, 발화 및 폭발 위험이 거의 없는 안정성 ▲리튬 금속 음극을 적용해 에너지 밀도가 높아져 주행 거리가 증가하는 에너지 밀도 ▲고체 전해질로 빠른 충전이 가능하며, 배터리 수명이 연장되는 장정이 있다.
■ 전기차 구입은 언제가 적당할까?
전기차 보급이 더딘 이유로는 신차 가격과 충전 인프라 부족이 자주 언급되지만, 가장 큰 걸림돌은 배터리 화재 위험성이다. 이 문제는 미국과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도 공통적으로 제기되는 사안으로, 전기차 구매를 미루거나 취소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그렇다면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전기차를 구매할 수 있는 시기는 언제일까? 해외 전문가들도 27년을 전기차 구매의 적절한 시점으로 보고 있다. 이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의 발전 덕분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안전성이 높아 화재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한 번 충전으로 더 긴 거리를 주행할 수 있고, 충전 시간도 크게 단축될 전망이다. 현재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과 배터리 기업들이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2027년에서 2028년 사이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소비자들은 여전히 내연기관차를 고집하는 이유는?
현재 자동차 2천6백만 대 중에서 10년 이상 차량이 35%로, 3대 중 1대 노후차로 계속 증가 추세이다. 최근 운전자들이 새 차를 구매하기 보다는 기존 내연기관차를 정비해서 계속 사용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자동차 전문정비사업조합연합회 강순근 회장은 "경제적인 이유, 전기차 인프라 부족, 그리고 전기차 안전성 문제로 인해 많은 운전자가 기존 내연기관차를 정비해서 사용하는 운전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전기차 구매를 고려했던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중고차를 정비해 사용하는 사례가 느는 추세다. 이는 전기차 화재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초기 비용 부담을 줄이려는 경제적 이유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27년 이후 전고체 배터리가 상용화된다면, 전기차 시장에 큰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며, 이때 많은 소비자가 전기차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해외 전기차 화재 대응은 어떻게 하나?
전기차 배터리 화재 문제는 전 세계적인 이슈다. 전기차 보급률 1위 국가인 노르웨이는 2023년 기준 신차 판매의 약 80%가 전기차다. 노르웨이는 터널 내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터널 인프라를 개선하고, 환기 시스템을 강화하는 한편, 접근이 쉬운 비상 출구를 마련했다. 또한, 전기차 배터리 화재의 강력한 열을 제어할 수 있는 물안개 시스템을 도입해 화재를 빠르게 진압하고 유독 가스의 확산을 방지하고 있다. 미국은 전기차 화재에 대비한 특별 대응 지침을 마련해, 화재 발생 시 신속히 리콜과 배터리 교체를 진행하며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독일 역시 전기차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전문 소방팀을 운영하고 있으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개선해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리콜과 배터리 교체 절차를 마련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들에게 2027년 이후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시점이 최적의 구매 시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는 전기차 시장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BEST 뉴스
-
[단독] "LG전자, 직원 10명 중 4명 잘린다…초대형 희망퇴직"
LG전자가 대규모 감원에 돌입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LG전자 직원만 가입할 수 있는 폐쇄형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최근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을 담아 "기사화를 부탁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이 글의 작성자는 LG전자 소속을 인증한 LG전자 직원으로 추정된다는 점에서 신빙성 있는 자료로 분석된다. ... -
DB그룹 경영권 향방 중대 고비…김남호 명예회장, 법률 자문 검토
DB그룹 2세인 김남호 명예회장이 두 달 전 회장직에서 물러난 데 이어 내년 3월 사내이사직까지 내려놓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김남호 DB그룹 명예회장 사진=DB그룹 제공/연합 지난 6월 27일, DB그룹은 돌연 ... -
“출산 후 수혈 못 해 아내를 잃었다”…영주 A 병원 예고된 인재
지난 7월, 경북 영주시의 분만취약지 지원병원에서 출산 직후 산모가 과다출혈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병원은 매년 수억 원의 국비·지방비를 지원받는 지역응급의료기관이었지만, 정작 응급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혈액조차 확보하지 못해 비극을 막지 못했다. 이 사고는 한 개인의 불운이 아니라 제도적 허점... -
박주민 “오세훈, 비(非)강남 버렸다”…경전철 공약 ‘빈 껍데기’ 전락
오세훈 서울시장 사진=연합뉴스 서울시가 추진해 온 강북·동북권 경전철 사업이 잇따라 좌초하면서 오세훈 시장의 균형발전 공약이 사실상 공염불에 그쳤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서울시당과 ‘새로운서울준비특별위원회’(위원장 박주민)는 21일 열린 ‘오세훈 시정 3... -
대한전선-LS전선 해저케이블 분쟁, 1년 넘긴 수사와 재계 파장
LS전선 동해공장 전경 사진=LS전선 제공 대한전선과 LS전선의 해저케이블 기술 유출 의혹을 놓고 진행 중인 경찰 수사가 1년을 넘겼다. 비공개 영업비밀 침해 사건 특성상 혐의 입증이 까다로워 수사가 지연되는 가운데, 이번 사안이 국내 해저케이블 산업 주도권과 재계 구도에 ... -
인천공항 제4활주로서 화물차 사고 사망…공항 안전관리 또 도마 위에
26일 오전 6시쯤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 제4활주로 인근에서 50대 남성 A씨가 몰던 1t 화물차가 공항 외곽 울타리를 들이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인천국제공항 전경 [인천국제공항공사 제공. 연합뉴스] 사고 충격으로 크게 다친 A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