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백남준은 그의 퍼포먼스 '굿모닝 미스터 오웰'을 통해 미디어와 기술이 인간의 삶에 미칠 영향을 예견함과 동시에 오웰이 걱정하던 디스토피아는 아직 오지 않았다는 예술가 적 조크를 보여 줬다.
그는 미디어가 인간의 소통과 창의성을 확장할 것이라고 낙관했으며, 동시에 조지 오웰의 소설 <1984>에서 묘사된 감시 사회에 대한 경고도 담아냈다.
이로부터 40년이 지난 2025년, 우리는 백남준의 예견과 오웰의 디스토피아, 그리고 미셸 푸코의 '판옵티콘'이 현실화된 세계에 살고 있다. 미디어와 기술은 인간의 자유를 확장했는가, 아니면 감시와 통제의 도구로 변모했는가? 이 질문은 우리가 직면한 미래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이다.

백남준의 낙관
백남준은 '굿모닝 미스터 오웰'에서 위성 방송과 실시간 미디어가 전 세계를 하나로 연결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의 예술은 기술이 인간의 창의성과 소통을 증진시키는 도구가 될 것이라는 믿음에서 출발했다.
실제로 오늘날 인터넷과 SNS는 지리적, 문화적 경계를 허물고, 누구나 콘텐츠를 창작하고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했다. 백남준이 꿈꾼 '미디어의 민주화'는 어느 정도 실현된 셈이다. 그가 광풍처럼 몰아치는 K 컬처를 봤다면 어땠을까?
그러나 그의 낙관은 기술의 어두운 면을 간과하지는 않았다. 그는 미디어가 권력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도 인지하고 있었다. 그의 작품은 기술의 양면성을 탐구하며, 인간이 어떻게 기술과 공존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오웰의 경고
조지 오웰의 <1984>는 전능한 국가 권력 '빅 브라더'가 시민을 끊임없이 감시하는 디스토피아를 그렸다. 오웰이 상상한 감시 사회는 2025년의 현실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
우리는 스마트폰, CCTV, AI 알고리즘에 둘러싸여 있다. 이 기술들은 우리의 행동, 선호, 심지어 감정까지 추적하고 분석한다. 빅 브라더는 더 이상 국가만이 아니다. 오늘날의 빅 브라더는 구글, 메타, 아마존과 같은 거대 기술 기업이다.

오웰의 경고는 단순히 감시의 문제를 넘어, 감시가 인간의 사고와 자유를 통제하는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지적했다. 우리는 이미 알고리즘이 추천하는 콘텐츠에 길들여져 있고, SNS의 '좋아요'와 '공유'는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푸코의 판옵티콘 – 권력의 미시물리학
미셸 푸코는 판옵티콘을 통해 현대 사회의 감시 구조를 설명했다. 판옵티콘은 중앙 감시탑에서 모든 수감자를 관찰할 수 있지만, 수감자는 자신이 언제 감시당하는지 알 수 없는 구조다. 이는 감시당한다는 불안감 때문에 개인이 스스로를 통제하게 만든다.

오늘날의 디지털 사회는 판옵티콘의 현대적 버전이다. 우리는 스마트 기기와 SNS를 통해 끊임없이 감시당하지만, 이 감시는 눈에 띄지 않는다. 우리는 알고리즘이 우리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다는 사실을 알지만, 이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제한적이다. 이는 푸코가 말한 '권력의 미시물리학'이 디지털 시대에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준다.
미디어와 감시가 만드는 통제 사회
백남준, 오웰, 푸코의 통찰을 종합하면, 미디어와 기술은 인간의 자유를 확장하는 동시에 감시와 통제의 도구로도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025년의 현실은 이 양면성이 극명하게 드러난다.
긍정적 측면에서의 미디어는 인간의 창의성과 소통을 증진시키고, 문화적 다양성을 확장했다. 그러나 부정적 측면에서의 미디어는 감시와 통제의 도구로 변모했으며,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자유를 위협하고 있다.
앞으로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백남준, 오웰, 푸코의 통찰은 우리가 미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기술이 인간의 자유를 확장하는 도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윤리적 기준과 규제가 필요하다. 데이터 보호, 알고리즘의 투명성, 기술 독점 방지 등이 핵심 과제다.
백남준의 예술적 정신은 감시 사회 속에서도 창의적 저항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디지털 아트, 해킹티비즘, 데이터 보호 운동 등은 새로운 형태의 저항으로 자리 잡고 있다.
개인이 미디어와 기술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감시 사회 속에서도 자유를 지킬 수 있는 미디어 리터리시가 그 힘이다.
자유와 통제의 경계에서
백남준, 오웰, 푸코는 각자의 방식으로 미디어와 기술이 인간의 삶에 미칠 영향을 예견했다. 그들의 통찰은 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긍정적 변화와 부정적 결과를 동시에 경고한다. 2025년의 우리는 이 경계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을 것인가? 기술이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도구가 아니라, 창의성과 소통을 확장하는 도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질문과 성찰이 필요하다.
우리의 미래는 기술이 아니라, 그 기술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