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세계 기술업계 뒤흔든 美-사우디 포럼…젠슨 황·일론 머스크, “AI가 미래 인프라”

  • 김세민 기자
  • 입력 2025.11.23 19:37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미국 현지 시각 19일 워싱턴 D.C. 케네디센터에서 열린 ‘미국-사우디아라비아 투자 포럼’이 전 세계 기술·투자 업계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특히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와 테슬라·xAI의 일론 머스크 CEO가 한 무대에서 기술의 미래를 논한 20분간의 대담 세션은 단순한 투자 포럼을 넘어 글로벌 기술 패권의 향방을 드러낸 순간으로 평가받고 있다.  

.

IMG_8504.jpe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11월 19일 워싱턴 D.C. 케네디센터에서 열린 ‘사우디 투자 포럼’에서 일론 머스크와 엔비디아 CEO 젠슨 황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출처AP/Evan)

  

젠슨 황은 AI를 기존의 전력·도로·통신과 같은 국가 기반 인프라로 규정하며 “지금은 산업혁명에 비견될 만큼 거대한 전환점에 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모든 산업이 AI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으며, 고성능 컴퓨팅이 국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요소가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사우디가 추진 중인 500MW급 AI 슈퍼컴퓨팅 인프라와 GPU 확대 계획에 대해 “이 같은 투자는 향후 글로벌 기술 지형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사우디의 방향성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일론 머스크는 AI 발전 속도가 “상상 이상으로 빠르다”고 표현하며 산업 전반의 구조가 재편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자율주행 기술, 로봇공학, 고성능 데이터센터 등 자신의 주요 사업군을 예로 들며 “AI는 많은 기존 일자리를 대체하겠지만 동시에 새로운 고부가가치 직업과 산업을 창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한 AI 도입이 생산성을 폭발적으로 끌어올리며 기존 경제 체계 전체가 재설계되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짧은 시간이었지만 두 기술 거물의 대담은 AI 인프라, 자율주행, 로봇, 슈퍼컴퓨팅, 국가 간 기술 동맹 등 핵심 의제를 모두 아우르며 글로벌 기술 산업의 흐름을 압축적으로 보여줬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가 오일머니 기반 경제에서 탈피해 AI·데이터·에너지 융합 경제로 전환하겠다는 전략을 공식화하면서, 이번 포럼은 단순한 외교·투자 행사를 넘어 국제 기술 생태계의 새로운 출발점을 상징하는 자리로 해석되고 있다.


워싱턴 D.C.에서 열린 이번 투자포럼을 계기로 미국과 사우디의 기술 협력이 전례 없는 수준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건설, GPU 기반 컴퓨팅 클러스터 구축, 자율주행·로봇 프로젝트 협력 등 후속 사업들이 구체화되면 글로벌 기술 패권의 중심축이 새롭게 이동할 것이란 전망도 힘을 얻고 있다.

ⓒ 위메이크뉴스 & wemakenews.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전체댓글 0

추천뉴스

  • 현대제철, 한전과 손잡고 ‘신규 송전철탑 원자재’ 공급…
  • 한난 'AI×무탄소로 미래 40년 그린다'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 개최
  • 한미글로벌, ‘스마트 인프라 건설’ 테크 포럼 12월 2일 코엑스서 개최
  • 티앤씨재단 공감도서 ‘노시니어존’, 2025 세종도서 교양부문에 선정
  • 노동진 수협 회장, 농수협 협력 강화… 농어촌 정책 공조 ‘시동’
  • 매일유업 “식품안전문화가 신뢰 좌우… 혁신 활동 이어갈 것”
  • “지역사회에 온기 전한다”…서울우유, 취약계층에 우유 7,800개 기부
  • 건설사업관리 제도 손본다…국회서 산·학·관 머리 맞댄다
  • 신한카드 ‘Haru’, 일본에서의 ‘특별한 하루’ 선사… 호시노야 숙박권 이벤트 진행
  • 잠실 한강버스, 얕은 수심 걸려 좌초…80여 명 구조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세계 기술업계 뒤흔든 美-사우디 포럼…젠슨 황·일론 머스크, “AI가 미래 인프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