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양념도 가미할 수 없는 컵라면을 여간해서 먹지 않는다.
또한, 어릴 때부터 먹어온 삼양라면, 신라면, 안성탕면을 주로 먹지 신제품에는 눈길이 닿지 않는다.
거미새해물라면이 자리만 떡 차지한 채 몇 달째 잘 팔리지 않는다.
라면 뚜껑에는 미역과 새우가 듬뿍 들어있다고 표시가 되어있어, 해물맛이 강할 것이라 짐작된다.
그러나 라면 용기가 백색과 청색이 주색이라, 자극적인 빨간색이 없어 팔리지 않는 것 같다.
오늘 아침, 나는 아침식사를 거르고 나와, 유효기간 며칠 남지 않은 거마새해물라면을 아침 대신 먹기로 했다.
라면 뚜껑에는 렌지용, 3분간 끓이라고 안내되어 있다.
라면 끓이기 3분 후, 라면 뚜껑을 열었다.
면이 굵다.
신라면과 질감이 다르게 보여진다.
매운맛이 훅 올라온다.
한입 드니 매운맛은 고추장 맛에 가깝고, 시원하다.
면의 질감은 다른 라면과 달리 매끄럽다. 흡사 쌀로 만든 라면과 같은 질감이다.
한마디로 해물맛이 가미되어 시원하다.
잘게 자른 미역이 약간의 씹는 즐거움도 준다(?).
굵은 면발이 또한 젓가락질 재미를 준다.
모처럼 한끼 식사 컵라면으로 배부르게 때웠다.
글/사진= 편의점 아재 625(유기호)이마트24 통진읍사무소점 점주
♣편의점 아재 625 칼럼은 기존 기사체에서 벗어나 일상 속에서 느낀 점을 자유로운 문체로 독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BEST 뉴스
-
[신박사의 신박한컨설팅]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디지털 전환, 기술보다 중요한 것들
소상공인 사업장의 디지털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다. 요즘 거리의 가게를 보면, 무인결제기와 스마트미러, 키오스크가 낯설지 않다.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상점 기술보급사업은 초기 성과 면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가게 문을 지키는 소상공인들은 이렇게 묻는다. ‘이 기술... -
[신박사의 신박한 컨설팅] 도시재생사업, 낡은 공간을 넘어 ‘삶의 플랫폼’으로
한때 활기가 넘쳤던 골목과 시장, 공장지대가 지금은 인구 감소와 경기 침체로 활력을 잃고 있다. 도심 공동화와 지방소멸의 그림자는 이미 우리 생활 곳곳으로 스며들었다. 도시재생사업은 이러한 쇠퇴한 지역을 다시 살리는 가장 현실적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건물 보수나 미관 개... -
[이상헌의 성공창업 경제학] 민생회복지원금 후광효과 지속하려면…
정부가 경기 침체와 서민 경제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추진한 ‘민생회복지원금’ 정책은 당초 국민들의 큰 기대를 모았다.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위축된 소비심리를 회복하고 내수를 진작시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숨통을 틔워주겠다는 목적이었다. 그러나 지원금 소비가 마무리되는 지금, 그 정...
